시조의 기본적인 개념
시조의 뜻 : 우리 민족이 만든 독특한 정형시의 하나. 원래 노래의 가 사로서 문학인 동시에 음악인 셈이다.
시조의 기본 형식 : 평시조를 기준으로 할 때, 3・4조의 음수율을 가지고 3장6 구, 45자 안팎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4음보격이다. 자수는 시조 마다 1, 2자 차이가 있을 수 있지만 종장 첫째 구만은 3음절을 반드시 지켜야 한다.
초장 3 4 3 4 ------ 기(起)
전구 후구
중장 3 4 3 4 ------ 승(承)
전구 후구
종장 3 5 4 3
전구 후구
전(轉) 결(結)
시조의 갈래
⑴ 형태상 갈래
① 평시조 ; 기본 형식의 단형 시조(短型時調)
② 사설시조 ; 2장 이상이 평시조에 비해 긴 장형 시조(長型 時調). 특히 중장이 거의 무제한으로 길어진다.
③ 연시조 ; 2수 이상의 평시조가 한 편을 이룬 시조
⑵ 시대상 갈래
① 고시조 ; 시조가 발생한 때로부터 갑오경장(1894년) 이전 까지 지어진 시조
② 현대 시조 ; 갑오경장 이후부터 지어진 시조
고시조의 국문학사적 위치
⑴ 우리 나라 고유의 정형시다.
⑵ 고려시대에 형성되어 현대시조로 전승된 전통적 문학이다.
⑶ 양반과 평민 모두가 지었던 국민문학이다.
구름이 무심(無心)탄 말이
해석
구름이 아무런 사심(邪心)이 없다는 말을 아마도 허무맹랑한 거짓말일 것이다. /하늘 높이 떠서 제 마음대로 다니면서 /굳이 밝은 햇빛을 따라 가며 덮는구나
興亡이 有數니
해석
흥하고 망하는 것이 다 운수에 매어 있는 것이니, 화려했던 고려의 궁궐 이 있던 만월대도, 이제는 시든 가을 풀만이 우거져 있을 뿐이로구나./ 오백 년 고려의 왕업은 이젠 한낱 목동이 부는 구슬픈 피리 소리에나 담 겨 있으니 / 해질 무렵 이 곳을 지나는 나그네(작자 자신)로 하여금 슬 픔을 이기지 못하게 하는구나.
방 안에 혓는 촉불
해석
방안에 켜 있는(놓은) 촛불은 누구와 이별을 하였기에,/ 겉으로 눈물을 흘리면서 속이 타 들어가는 줄을 모르는가./ 저 촛불도 나와 같아서(슬 피 눈물만 흘릴 뿐) 속이 타는 줄을 깨닫지 못하는구나.
간 밤의 우던 여흘
해석
지난 밤에 울며 흐르던 여울, 슬프게 울면서 흘러 가도다. /이제야 생각 하니 그 슬픈 여울물 소리는 임(임금)이 울어 보내는 소리도다. /저 물 이 거슬러 흐르게 하고 싶다. 나도 울면서 가리라.
천만 리 머난먼 길에
해석
천 리 만 리 머나먼 저승길에 고운 님(단종)을 영원히 사별하옵고 (돌아 오니) 나의 슬픈 마음을 붙일 데가 없어 객사에 앉았습니다. (흘러가는) 저 냇물도 내 마음 같아서 울며불며 밤길을 흘러갑니다.
가노라 三角山(삼각산)아
해석
떠나가노라 삼각산이여! (언제가 될지 모르지만) 다시 보자 한강물이여! 할 수 없이 이 몸은 고국 산천을 떠나가려고 하지만 시절이 하도 뒤숭숭하니 다시 돌아올지 어떨지는 모르겠구나.
견회요(遣懷謠)
白雪이 ㅈㅈ진
해석
흰 눈이 잦아진 골짜기에 구름이 험하구나/ (나를) 반겨 줄 매화는 어느 곳에 피어 있는가? / 날이 저물어 가는 석양에 홀로 서 있어 갈 곳 몰라 하노라.
'국어 > 문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여승, 샛별 지자 종다리 떴다, 시비에 개 짖거늘, 논발 갈아 김매고 ~ (1) | 2023.03.29 |
---|---|
고전시가 필수어휘 (0) | 2023.03.15 |
필수 고전시가 (성산별곡, 관동별곡) (0) | 2022.06.07 |
필수 고전시가( 유산가, 만분가, 만언사, 용부가) (0) | 2022.06.06 |
필수 고전시가 ( 속미인곡, 규원가, 선상탄, 누항사, 고궁가) (0) | 2022.06.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