필수 고전시가(찬기파랑가,안민가,가시리,서경별곡) - 빨리 시작하는 공부방
반응형
728x170

찬기파랑가

찬기파랑가

해석

열치매 /나타난 달이/흰구름 좇아 떠감이 아니야? 새파란 내(川)에/ 기랑의 모양이 있어라! 이로 냇가 조약에/ 낭의 지니시던/ 마음의 끝을 좇과저. 아으, 잣(栢)가지 드높아 /서리를 모르올 화랑장이여

▶ 연대 : 신라 경덕왕

▶ 종류 : 10구체 향가

▶ 성격 : 추모시,서정시,추모가

▶ 주제 : 기파랑의 고매한 인품을 추모함

▶ 의의 :

① 제망매가와 함께 표현 기교 및 서정성이 돋보이는 향가의 백미

② 사뇌가(詞腦歌)라는 명칭이 붙어 '찬기파랑 사뇌가'라고도 불

 

 

안민가

안민가

 

해석

임금은 아비요
신하는 사랑하실 어미요
백성은 어린아이라고 하실 때
백성이 사랑을 알 것이로다
구물거리며 살던 백성
이를 먹어 다스려져
'이 땅을 버리고 어디를 가겠느냐' 할 때
나라가 유지될 줄 알 것이로다
아아, 임금답게 신하답게 백성답게 할 때
나라가 태평할 것이니라

 

▶ 연대 : 신라 경덕왕 24년(765)

▶ 종류 : 10구체 향가

▶ 성격 : 유교적, 교훈적

▶ 표현 : 논리적, 직설적 어법

▶ 주제 : 나라를 다스리는 올바른 길

▶ 의의 : 유교적 이념을 노래한 유일한 향 가

 

 

가시리

 

해석

가시리 가시리이까? 나난
버리고 가시리이까? 나난
위 증즐가 대평성대

날더러 어찌 살라 하고
버리고 가시리이까? 나난
위 증즐가 대평성대

붙잡아 두어리마는
서운하면 아니 올세라 (두려워라)
위 증즐가 대평성대

서러운 임 보내옵노니 나난
가시는 듯 돌아 오소서 나난
위 증즐가 대평성대

 

▶ 갈래 : 고려 속요

▶ 형식 : 전 4연의 분연체

▶ 운율 : 3.3.2조의 3음보

▶ 별칭 : 귀호곡

▶ 주제 : 이별의 정한

▶ 출전:<악장가사><악학편고><시용향 악보>

▶ 의의 : 이별의 애달픔을 소박한 정조로 노래한 이별가의 절조

 

 

 

서경별곡

 

해석

서경이, 아즐가 서경이 서울이지마는
위 두어렁셩 두어렁셩 다링디리
닦은 곳, 아즐가 닦은 곳인 소성경을 사랑하지만은
위 두어렁셩 두어렁셩 다링디리

(임을) 여의느니, 아즐가 여의느니 길쌈하던 베 버리고라도
위 두어렁셩 두어렁셩 다링디리
사랑하신다면, 아즐가 사랑하신다면 울면서라도 쫓으리이다.
위 두어렁셩 두어렁셩 다링디리

구슬이, 아즐가 구슬이 바위에 떨어진들
위 두어렁셩 두어렁셩 다링디리
끈이야, 아즐가 끈이야 끊어지리이까? 나난
위 두어렁셩 두어렁셩 다링디리
천년을, 아즐가 천년을 외로이 지낸들
위 두어렁셩 두어렁셩 다링디리
믿음이, 아즐가 믿음이 끊어지리이까? 나난
위 두어렁셩 두어렁셩 다링디리

대동강, 아즐가 대동강 넓은 줄 몰라서
위 두어렁셩 두어렁셩 다링디리
배를 내어, 아즐가 배를 내어 놓았느냐 사공아
위 두어렁셩 두어렁셩 다링디리
네 아내가, 아즐가 네 아내가 바람난 지 몰라서
위 두어렁셩 두어렁셩 다링디리
떠나는 배에, 아즐가 떠나는 배에 (내 임을) 얹었느냐 사공아
위 두어렁셩 두어렁셩 다링디리
(내 임은) 대동강, 아즐가 대동강 건너편의 꽃을
위 두어렁셩 두어렁셩 다링디리
배를 타 들면, 아즐가 배를 타 들면 꺾으리이다. 나난
위 두어렁셩 두어렁셩 다링디리

 

■ 이별의 정한

• 고대가요 <황조가>-꾀꼬리라는 매개체로 부각

• 고려가요 <가시리>의 정한-소극적이고 직선적이지만, 희생과 감정의 절제를 통한 기다림의 정서

• 고려가요 <서경별곡>의 정한-저돌적이고 자기 중심적인 여성의 어조로 이별을 거부하며 함께 하는 행 복과 애정을 강조한다.

• 김소월의 <진달래꽃>의 정한-가시리처럼 다시 돌아와 달라는 원망을 토로하지 않고 감정의 절제 및 자 기 희생적 자세를 역설적으로 보인다.

반응형
그리드형
  • 네이버 블러그 공유하기
  • 네이버 밴드에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