필수 고전시가(정과정,정석가,청산별곡,사모곡,동동) - 빨리 시작하는 공부방
반응형
728x170

정과정

정과정

 

해석

내 님을 그리워하여 울고 있으니
산 접동새와 내 신세가 비슷합니다.
(모함들이 사실이) 아니며 거짓인 줄을
잔월효성(지는 달 뜨는 별)이 아실 것입니다.
넋이라도 님과 함께하고 싶구나 아아
(내가 죄가 있다고) 우기시는 이가 누구입니까
잘못도 허물도 천만 없습니다.
모함에 지나지 않는 것을
서럽구나 아아
님이 나를 벌써 잊으셨습니까
아소님아, 다시 들으시어 사랑해 주소서

 

▶ 갈래 : 향가계 가요

▶ 형식 : 3단 구성

▶ 주제 : 충절, 연군지사

▶ 의의 1. 10구체 향가의 전통을 있는 3단 구성의 가요

2. 충신연주지사(忠臣戀君之辭)

 

3. 유배 문학의 원류

1. 국문으로 기록된 고려가요 중 작자와 연 대가 소상한 유일한 가요.

2. 소위 충신연주지사(忠臣戀君之辭)라 함.

3. 확실한 연대는 불분명하나 의종 즉위 10 년 전후의 작품으로 추정. 4. 송강 정철(松江)의 사미인곡<思美人 曲>, 속미인곡<續美人曲> 등은 이 정 과정에서 원류하는 연주지사(戀主之辭) 라 할 수 있다.

 

●명칭 : 귀양살이가 유형(流刑)인데 본래 귀양은 歸鄕(귀향)으로,

1) 벼슬을 사양하고 향리나 전원에 돌아가거나

2) 벼슬을 사양한 이유(신병, 노부모 봉양, 삭직, 당쟁에서 패배 등)

●특징 1) 온갖 고초와 고독감 속에서도 임금에 대한 충성심을 노래함

2) 당쟁의 산물로서 사대부들의 가장 쓰라린 생활감정의 표출

3) 대개가 단순한 귀향이 아닌 형벌의 형식으로 유배지에서 지음

4) 우리 시가사상 최초의 유배형식의 시가는 정서의 <정과정>

5) 유배를 소재로 한 시조( 윤선도 시조)도 있음

6) 대개 유배자 자신이 지은 것, 배행자(陪行者)가 지은 작품도 있음( 북관곡)

 

 

정석가

정석가

 

해석

징이여 돌이여 지금에 계십니다.
징이여 돌이여 지금에 계십니다.
태평성대에 노닐고 싶습니다.

사각사각 잔모래 벼랑에 나난
사각사각 잔모래 벼랑에 나난
구운 밤 다섯 되를 심습니다.
그 밤이 움이 돋아 싹 나고서야
그 밤이 움이 돋아 싹 나고서야
유덕하신 님을 여의고 싶습니다.

옥으로 연꽃을 새깁니다.
옥으로 연꽃을 새깁니다.
바위 위에 접을 붙입니다.
그 꽃이 세 묶음 피고서야
그 꽃이 세 묶음 피고서야
유덕하신 님 여의고 싶습니다.

무쇠로 철릭을 말라 나난
무쇠로 철릭을 말라 나난
철사로 주름을 박습니다.
그 옷이 다 헐고서야
그 옷이 다 헐고서야
유덕하신 님 여의고 싶습니다.

무쇠로 큰 소를 지어다가
무쇠로 큰 소를 지어다가
쇠나무 산에 놓습니다.
그 소가 쇠로 된 풀을 먹어야
그 소가 쇠로 된 풀을 먹어야
유덕하신 님 여의고 싶습니다.

구슬이 바위에 떨어진들
구슬이 바위에 떨어진들
끈이야 끊어지겠습니까
천 년을 외로이 살아간들
천 년을 외로이 살아간들
믿음이야 끊어지겠습니까.

▶형식 : 고려 속요

▶성격 : 축도가

▶주제 : 임과의 변함없는 사랑, <태평 성대 의 기원>

▶의의 - 영원 무궁한 사랑을 노래한 작품으로 가 장 뛰어나다 - 불가능한 사실을 전제로 한 완곡한 표현 법을 살린 작품

 

청산별곡

청산별곡

 

해석

서경이, 아즐가 서경이 서울이지마는
위 두어렁셩 두어렁셩 다링디리
닦은 곳, 아즐가 닦은 곳인 소성경을 사랑하지만은
위 두어렁셩 두어렁셩 다링디리

(임을) 여의느니, 아즐가 여의느니 길쌈하던 베 버리고라도
위 두어렁셩 두어렁셩 다링디리
사랑하신다면, 아즐가 사랑하신다면 울면서라도 쫓으리이다.
위 두어렁셩 두어렁셩 다링디리

구슬이, 아즐가 구슬이 바위에 떨어진들
위 두어렁셩 두어렁셩 다링디리
끈이야, 아즐가 끈이야 끊어지리이까? 나난
위 두어렁셩 두어렁셩 다링디리
천년을, 아즐가 천년을 외로이 지낸들
위 두어렁셩 두어렁셩 다링디리
믿음이, 아즐가 믿음이 끊어지리이까? 나난
위 두어렁셩 두어렁셩 다링디리

대동강, 아즐가 대동강 넓은 줄 몰라서
위 두어렁셩 두어렁셩 다링디리
배를 내어, 아즐가 배를 내어 놓았느냐 사공아
위 두어렁셩 두어렁셩 다링디리
네 아내가, 아즐가 네 아내가 바람난 지 몰라서
위 두어렁셩 두어렁셩 다링디리
떠나는 배에, 아즐가 떠나는 배에 (내 임을) 얹었느냐 사공아
위 두어렁셩 두어렁셩 다링디리
(내 임은) 대동강, 아즐가 대동강 건너편의 꽃을
위 두어렁셩 두어렁셩 다링디리
배를 타 들면, 아즐가 배를 타 들면 꺾으리이다. 나난
위 두어렁셩 두어렁셩 다링디리

 

1.갈래 : 고려 속요, 서정시

2.형식 : 전8연의 분절체

3.운율 : 3.3.2조, 3음보

4.성격 : 현실도피적, 애상적

5.의의 : 고려인들의 삶의 애환을 반영한 작품

6.출전 : 악장가사, 악학편고, 시용향악 보

7.제재 : 청산과 바다 8.주제 : 생의 고뇌와 비애

● 서정적 자아에 대해 이설(異說)

① 유랑민(流浪民)이라는 견해:청산에 들어가 머루나 다래를 따먹고 살아 야 하는 민중의 괴로운 삶, 특히 유 랑민의 처지를 나타낸 민요이다.

② 실연한 사람이라는 견해:실연의 슬 픔을 잊기 위해 청산으로 도피하고 싶어하는 노래이다.

③ 지식인(知識人)이라는 견해:속세의 번뇌를 해소하기 위해 청산을 찾았 고, 기적과 위안을 구하면서도 삶을 집요하게 추구하는 지식인의 술노래 이다.

이 경우라면 민요였으리라는 가정은 부정되고 고도의 상징성을 지닌 표현으로 보아 창작 가요의 성 격을 띤다

 

■ AABA구조 노래하기 유형의 문학은 드러내고자 하는 생각을 노래의 틀에 맞추어 표현한다. 이러한 틀로는 동한 음운의 반 복, 음수나 음보의 반복, 유사한 어구의 반복 등을 들 수 있는데 이 중 고려가요, 가시리처럼 가시리 가시리잇고 바리고 가시리잇고 A A B A 구조라 한다. 이는 반복 반복 변화 반복의 구조이다. 다음은 그 예들이다.

▲노세 노세 젊어서 노세<민요>

▲가시리 가시리잇고 나난 바리고 가시리잇고'<고려가요 가시리>

▲살어리 살어리랏다. 청산에 살어리랏다.<작자미상의 청산별곡>

▲형님온다 형님온다 보고싶은 형님온다'<시집살이 노래>

▲가난이야, 가난이야, 원수년으 가난이야,

▲돈 봐라, 돈 봐라, 얼씨고나 돈 봐라. <흥보가>

▲나는 왕이로소이다. 나는 왕이로소이다. 어머님의 가장 어여쁜 아들, 나는 왕이로소이다. <홍사용, 나는 왕이로소이다.> ▲산에는 꽃 피네/ 꽃이 피네/ 갈 봄 여름 없이/ 꽃이 피네'<김소월의 산유화>

▲해야 솟아라, 해야 솟아라, 말갗게 씻은 얼굴 고운 해야 솟아라 <박두진의 해>

■ 감정이입(感情移入,empathy) 대상(곧, 자연계)과 인간에 대하여 가지는 자신의 감정을 저도 모르게 다시 그 대상과 인간에게 옮겨 넣고 마치 자신과 같은 감정을 가지고 있는 듯이 느끼는 것을 감정이입이라 한다. 예를 들어, 흐르는 시 냇물은 소리를 늘 내며 흘러가지만, 감정을 느끼는 주체자가 슬플 때는 냇물 소리가 슬프게 느껴져 처량 한 소리를 낸다고 하고, 주체자가 기쁠 때는 명랑한 소리를 내며 흘러간다고 느끼는 것을 말한다. 예를 들면, 한 독자가 소설의 주인공과 자기를 동일시(同一視)하여 그 주인공이 웃었다는 대목에 이르러서는 자기도 같은 마음에서 따라 웃었다는 것, 또는 무섭게 찡그린 배우의 얼굴을 보면서 관객이 자기도 모르 게 얼굴을 찡그리는 것 등은 다 감정이입의 결과이다.

● 왕방연 시조 천만리(千萬里) 머나먼 길에 고운 님 여희옵고 / 내 마음 둘 듸 없어 냇가의 안자이다. / 져 물도 내 안 같도다 우러 밤길 녜놋다

 

사모곡

사모사모곡

해석 : 호미도 날이지마는 / 낫같이 잘 들 리도 없습니다 아버님도 어버이시지마는/ 위 덩더둥셩/ 어머님같이 아껴 주실 리 없어라 아! 님이여 어머님같이 아껴 주실 리 없어라

 

▶연대 : 고려시대

▶갈래 : 고려속요

▶형식 : 비연시(非聯詩), 단연시(單聯詩)

▶운율 : 3음보

▶주제 : 어머니 사랑 예찬

 

 

동동

동동

 

해석

덕일랑 뒤에 바치옵고
복일랑 앞에 바치옵고
덕이여 복이라 함을
드리러 오십시오.
아으 동동다리

정월 냇물은
아아, 얼다 녹다 하는데
누리 가운데 나고는
이 몸은 홀로 지내누나.
아으 동동다리

이월 보름에
아아, 높이 켠
등불 같아라.
만인 비추실 모습이로다.
아으 동동다리

삼월 나며 핀
아아, 늦봄 달래 꽃이여
남이 부러워할 모습을
지녀 나셨도다.
아으 동동다리

사월 아니 잊어
아아, 오는구나 꾀꼬리새여.
무슨 일로 녹사님은
옛 나를 잊고 계신가.
아으 동동다리

오월 오일에
아아, 수릿날 아침 약은
천 년을 길이 사실
약이라 바치옵니다.
아으 동동다리

유월 보름에
아아, 벼랑에 버린 빗 같아라.
돌아보실 임을
조금씩 좇겠노이다.
아으 동동다리

칠월 보름에
아아, 온갖 제물 벌여 두고
임과 함께 지내고자
원을 비옵나이다.
아으 동동다리

팔월 보름은
아아, 가윗날이건마는
임을 모셔 지내야만
오늘이 한가위여라.
아으 동동다리

구월 구일에
아아, 약이라 먹는 국화
꽃이 집 안에 드니
띳집이 가만하여라.
아으 동동다리

시월에
아아, 저며낸 보리수나무 같아라
꺾어 버리신 후에
지니실 한 분이 없으셔라.
아으 동동다리

십일월 봉당 자리에
아아, 홑적삼 덮고 누워
슬픔이 되살아오누나.
고운 임 (여의고) 스스로 지냄이여.
아으 동동다리

십이월 분지나무로 깎은
아아, 차릴 소반의 젓가락 같아라.
임의 앞에 드려 올리노니
손님이 가져다 무옵나이다.
아으 동동다리

▶연대 : 고려시대

▶갈래 : 고려 속요

▶형식 : 전13연의 달거리 노래

▶구성 : 서사(연)의 본사(2∼13연)

▶표현 : 영탄법, 직유법, 은유법

▶의의 : 최초의 달거리 노래 (월령체 (月令體))

▶주제 : 임에 대한 송도(頌禱)와 연모 (戀慕)

반응형
그리드형
  • 네이버 블러그 공유하기
  • 네이버 밴드에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