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지리 - 인구 분포와 인구 구조의 변화, 인구 문제와 다문화 공간의 확대 - 빨리 시작하는 공부방
반응형
728x170
인구 분포와 인구 구조의 변화

1. 우리나라의 인구 분포와 인구 이동
(1) 인구 분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자연적 요인
• 기후, 지형, 토양 등
• 전통적 인구 분포에 크게 영향을 끼침
사회 • 경제적 요인
• 문화, 교육, 직업, 산업, 교통 등
• 과학 기술이 발달하고 경제가 성장하면서 영향력이 커짐
(2) 우리나라의 인구 분포
1960년대 이전
• 인구 밀집 지역: 기후가 온화하고 경지 비율이 높은 남서부 평야 지대
• 인구 희박 지역: 산지가 많은 북동부 지역
현재
• 인구 밀집 지역: 2• 3차 산업이 발달하고 도시가 밀집되어 있는 수도권. 공업이 발 달한 남동 임해 지역
• 인구 희박 지역: 태백• 소백산맥의 산간 지역과 농어촌 지역



(3) 우리나라의 인구 이동
1960~ 1980년대: 산업화와 도시화가 진행되면서 농어촌에서 대도시. 공업 도시로의 이촌 향도 현상이 나타나고 수도권으로의 ①인구 유입이 활발함
② 1990년대 이후: 수도권과 대도시로 인구가 집중하는 한편. 대도시의 교외화 현상으로 대도시 에서 주변 도시로의 인구 이동이 많아짐

2. 우리나라의 인구 변화
(1) 인구 변동
① 자연적 증감(출생자 수-사망자 수)과 사회적 증감(전입자 수-전출자 수)에 의해 결정됨
② 의학 기술의 발달, 경제 발달 수준. 인구 정책 등의 영향을 받음
(2) 인구 변천 모형

(3) 우리나라의 인구 성장
조선 시대 이전
출생율이 높았으나 낮은 농입 생산력. 질병과 기근 등으로 사망율도 높았음
일제 강점기
• 근대 의학 기술의 보급으로 사망율이 낮아짐
• 경지 면적 증가, 식량 증산 등으로 인구 부양력이 높아짐
광복~ 1960년대 초
• 광복~ 1950년대 초: 해외 동포의 귀국, 북한 주민의 월남으로 남한의 인구 증개(사회 적증가)
• 6• 25 전쟁 기간 중: 사망률 증가
• 전쟁 후 안정 시기: 출산 분 현상에 의한 인구 증개(자연적 증가)
1960년대 중반~ 1980년대
• 산아 제한 정책 실시. 생활 수준 향상
• 1983년 합계 출산율이 2,06명으로 대체 출산율보다 낮아짐
1990년대 이후
초혼 연령 상승, 만혼과 비혼 등으로 합계 출산율이 크게 낮아짐


3. 우리나라의 인구 구조 변화
(1) 연령층별 인구 구조
① 출생률이 낮아지면서 유소년층 인구 비율이 감소함
② 청장년층 인구 비율은 2010년대 중반까지 증가하였으나 이후 감소하였으며. 지속적으로 감소 할 것으로 예상됨
③ 평균 수명이 증가하면서 노년층 인구 비율이 증가함
(2) 시기별 인구 구조의 변화
1960년
출생률이 높아 유소년층 인구 비율이 매우 높음. 피라미드형 인구 구조가 나타남
2015년
낮은 출생율로 유소년층 인구 비율이 감소하고 노년층 인구 비율이 증가함
2060년(예상)
평균 수명 증가와 저출산이 지속될 경우 노년층 인구 비율이 매우 높아질 것으로 예상됨

(3) 인구 부양비 변화
① 1965년에 비해 2015년과 2065년은 유소년 부양비가
낮고 노년 부양비가 높음
② 1960년 대부터 2010년대 중반까지는 청장년층 인구 비율이 증가하면서 총부양비가 낮아졌으나, 이후 청장년층 총부양비가 낮아졌으나, 인구 비율이 감소하면서 총부양비가 높아질 것으로 예측됨
③ 유소년층 인구 비율은 감소하고 노년층 인구 비율은 증가하여 노령화 지수가 빠르게 증가함


인구 문제와 다문화 공간의 확대

1. 저출산 현상
(1) 현황: 1960년대 이후 추진된 출산 억제 정책의 영향으로 합계 출산율 감소, 2001년 이후 합게 출산율이 1.3명 미만인 초저출산 국가로 분류
(2) 원인
① 결혼과 가족에 대한 가지관 변화로 평균 초혼 연령 상 승, 비혼 및 무자녀 부부 증가에 따른 춘생률 감소 등
② 자녀 양육 비용 증가, 고용 불안, 일과 가정 양립의 어려움등
(3) 영향
① 장기적으로 미래 생산 가능 인구와 총인구 감소 초래
② 경제 활동에 투입되는 노동력 부족, 소비와 투자 위축에 따른 국가 경쟁력 약화 유발
2. 고령화 현상
(1) 현황: 2000년 고령화 사회, 2018년 고령 사회 진입, 2025년에는 초고령 사회 진입 예상
(2) 원인
① 저출산 현상에 따른 유소년층 인구 비율 감소와 노년층 인구 비율 증가
② 경제 수준 향상과 의학 기술 발달 -> 사망률 감소, 기대 수명 증가
(3) 영향
① 노년 부양비 증가에 따른 청장년층의 사회적 부담 증가
② 연금 • 의료 • 복지 등 사회적 비용 증가에 따른 국가 재정 부담 증가
③ 노동력 고령화. 노동력 감소 등으로 국가 경제의 활력 저하

3. 저출산 • 고령화 현상에 따른 공간 변화
(1) 정주 여건의 격차 심화
① 정주 여건이 잘 갖추어진 지역은 대체로 유입 인구가 유출 인구보다 많음
② 고령화가 빠르게 진행되는 촌락. 지방 중소 도시. 대도시의 구(#)시가지 등은 정주 여건이 악화되고 이에 따라 인구가 유출하는 악순한이 발생함
(2) 사회 기반 시설에 대한 수요 변화: 유소년층을 위한 문화 • 교육 시설보다 노년층을 위한 의료, 문화 • 평생 교육, 복지 시설에 대한 수요 증가
4. 저출산 • 고령화 현상에 대한 대책
(1) 저출산 대책
① 개인 및 사회적 인식 변화: 양성평둥 문화 확립, 일과 가정 양립, 가족 친화적 사회 분위기 조성 등
② 정책적 지원
• 임신 및 양육에 대한 재정적 지원
• 출산 휴가 및 육아 휴직 제도 개선
• 신혼부부를 위한 주거 • 복지 • 행정적 지원 확대 및 다자녀 가구 우대 정책 실시
• 지역 및 직장에 안전하고 촘촘한 보육 시설 확충
(2) 고령화 대책
① 노년충의 경제적 기반 마련
• 정년 연장. 임금 피크제, 직업 재교육 등을 통한 경제 활동 참여 기회 확대
• 공적 연금 강화, 개인연금 준비 등 지속 가능한 연금 제도 정작
② 노인 복지 정책과 편의 시설 확대: 노인 전문 병원, 요양원 등의 시설 확충, 실버산업 육성 등


5. 외국인 이주자의 증가
(1) 국내 거주 외국인의 증가와 현황
① 배정: 세계화에 따른 노동 시장 개방, 외국인 의 국내 취업 및 유학 증가, 국제결혼 증가 등
② 유형: 외국인 근로자, 결혼 이민자, 유학생 등
③ 출신 국가별 현황: 국적별로는 중국(한국계 포함)과 동남아시아 국가 출신 비율이 높음
(2) 외국인 근로자의 유입
① 배경: 국내 근로자의 임금 상승, 3D 업종에 대  한 기피 현상 -> 노동력 부족 현상 심화
② 현황: 중국 • 동남아시아 • 남부 아시아로부터 저임금 노동력이 유입됨, 최근에는 연구 개발, 국제 금융 등 전문직• 고임금 외국인 근로자의 유입도 활발해짐
③ 주요 취업 업종: 제조업과 서비스업에 종사하는 비율이 높음
(3) 국제결혼과 다문화 가정의 증가
① 배경: 농어촌 지역에서 결혼 적령기의 성비 불균형 심화, 외국인에 대한 인식 개선, 결혼에 대한 가치관 변화 등
② 현황
• 2000년대 중반까지 국제결혼 건수가 급격히 증가하였으나 이후 대체로 감소 추세임
• 총 국제결혼 건수는 도시가 많지만, 국제결혼 비율은 촌락이 높음
• 한국인 여성과 외국인 남성의 결혼보다 한국인 남성과 외국인 여성의 결혼 비율이 높음

6. 다문화 사회의 형성과 영향
(1) 다문화 사회 및 다문화 공간의 형성
① 다문화 사회의 형성: 외국인 근로자와 결혼 이민자의 증가로 다문화 사회 형성
② 다문화 공간의 형성: 언어 • 종교 등 문화적 배경이 유사하거나 국적이 같은 이주자들이 일정
지역에서 정보 교환과 자국 문화 공유를 위한 공동체 형성 - 이주자들의 문화와 우리나라의 문화가 융합되어 독특한 공간 형성

(2) 다문화 사회의 영향
① 긍정적 영향
• 노동력 유입에 따른 인력난 완화 및 경제 성장
• 저출산• 고령화 현상 완화- 우리나라 인구 구조에 긍정적인 영향
• 다양한 문화적 자산 공유
② 부정적 영향
• 외국인 근로자와 내국인 근로자 간 일자리 경쟁
• 인중(민족)• 종교적 차이에 대한 편견과 차별로 사회적 갈등 유발
• 결혼 이민자가 겪는 자녀 보육 및 적응 문제의 어려움
• 다문화 가정 자녀의 정체성 혼란과 사회 부적응 문제
• 의사소통의 어려움과 문화적 이질감에 따른 갈등
(3) 다문화 사회의 발전을 위한 노력
① 국가적 • 사회적 차원: '다문화 가족 지원법」 제정과 같은 제도적 지원 확대. 다문화 가정을 지 원하는 사회적 통합 시스템 구축, 시민 단체 등의 외국인 이주자 및 다문화 가정 자녀를 지원 하는 프로그램 실시 등
② 개인적 차원: 문화 상대주의 관점에서 문화적 다양성 존중, 외국인과 상생할 수 있는 시민 의 식 함양 등

반응형
그리드형
  • 네이버 블러그 공유하기
  • 네이버 밴드에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