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지리 - 촌락의 변화와 도시 발달, 도시 계획과 지역 개발 - 빨리 시작하는 공부방
반응형
728x170
촌락의 변화와 도시 발달

1. 촌락의 형성과 변화
(1) 전통 촌락의 특징
① 대체로 인구 규모가 작고, 인구 밀도가 낮음
② 1차 산업 종사자 비율이 비교적 높으며. 제조업 발달이 미약함
③ 전통적 생활 양식과 가치관을 담고 있으며, 전통문화가 도시에 비해 비교적 잘 보존되고 있음
(2) 전통 촌락의 입지
① 도시에 비해 사회• 경제적 조건보다는 자연적 조건의 영향을 많이 받음
② 풍수지리적 길지인 배산임수 조건을 갖춘 곳에 주로 입지함 -• 최근에 상업적 농업이 발달하 면서 사회 • 경제적 조건의 중요성이 커지고 있음
③ 입지 요인

(3) 전통 촌락의 기능에 따른 분류와 경관
① 농촌: 주로 벼농사가 이루어지며, 협동 노동의 필요성으로 주로 집촌을 이름
② 어촌: 해안 지역의 항구를 중심으로 형성되며. 경지가 있는 경우 반농반어촌을 이룸
③ 산지촌: 산간 지역에 위치하여 밭농사 • 목축업 • 임업 등 발달, 주로 산촌을 이름

(4) 촌락의 변화: 도시화 및 도시와의 집근성 향상 등이 원인
① 도시와의 접근성이 낮은 촌락: 정지 면적보다 농가 수가 빠르게 감소하여 농가당 정지 면적이 증가함. 청장년층 중심의 인구 유출로 노년층 인구 비율이 증가하여 노동력의 고령화가 심화됨
② 도시와의 접근성이 높은 촌락: 아파트 • 공장 등 도시적 경관이 증가하며 겸업농가 비율이 높음, 도시와의 접근성이 낮은 촌락보다 도시로 통근하는 주민의 비율이 높음

(5) 최근 촌락의 다양한 변화
① 자연환경을 활용한 여가 공간으로의 변화
예) 슬로 시티(slow city) 운동, 체험 마을 운영 등
② 지방 자치 단체를 중심으로 귀농 • 귀촌 홍보 및 관련 시설 운영
③ 1• 2• 3차 산업을 결합하여 부가 가치를 창출하는 6차 산업의 활성화
2. 우리나라의 정주 공간 및 도시 발달 과정
(1) 도시와 촌락의 관계
① 도시와 촌락의 특징 비교

② 상호 보완적 관계인 도시와 촌락
• 도시와 주변 촌락은 정주 체계를 바탕으로 상호 보완적인 기능 관계에 있음
• 도시는 행정 기관. 상업 시설 등이 보여 있는 중심지로 촌락에 각종 재화와 서비스를 공급함
• 촌락은 도시에 식량을 공급하며, 아름다운 자연환경을 바탕으로 도시민에게 여가 공간을 제공항
③ 초락의 변화
• 농촌: 농공 단지 • 농촌 체험 마을 조성 등으로 2• 3차 산업 증가. 상업적 농업 및 친환경 농업 발달. 위탁 영농 회사와 영농 조합 증가
• 이촌: 2010년대는 1970년대에 비해 이업 생산량 중 연근해 어업 생산량 비율 감소 및 양식업
생산량 비율 증가, 어촌 체험 마을과 어촌 정관을 활용한 관광객 유치

(2) 시대별 도시 발달의 특징
일제 강점기
• 초기: 한반도 식량 기지화에 따라 쌀 수출향인 군산, 목포 등 성장
• 후기: 병참 기지화 정책으로 지하자원과 수력 자원이 풍부한 관북 해안 지역의 청진, 함흥 등 공업 도시 발달
광복 후~1950년대
북한 동포의 월남과 해외 동포의 귀국으로 대도시 인구가 급증하면서 인구 과밀화와 슬럼화 발생
1960년대
경제 개발 정책에 따른 이촌 향도 현상으로 서울, 부산 등 대도시의 인구 급증
1970년대
• 도시 인구가 촌락 인구보다 많아졌으며 광주. 대전 등 지방 대도시 성장
• 수출 위주의 공업화 정책으로 남동 임해 지역의 포함. 울산, 창원, 여수 등 공업 도시 발달
1980년대 이후
• 서울, 부산, 대구 등 대도시의 기능을 분담하는 성남. 안산, 고양, 김해, 양산, 경산 등의 위성 도시 및 신도시 성장 -• 교외화 현상
• 지방 중소 도시는 인구가 정제되거나 감소하고 있음
• 도시와 농촌 간의 상호 보완적 관계를 통해 지역 격차를 줄이기 위해 1995년에 도농 통합시가 출범함

3. 우리나라의 도시 체계
(1) 중심지로서의 도시
① 주변 지역이나 다른 도시 및 촌락에 재화와 서비스를 제공하는 중심지 기능을 함
② 높은 계층의 도시일수록 그 수는 적지만 중심지 기능이 다양하고 배후지 면적이 넓음

(2) 도시 체계
① 의미
• 도시 간 상호 작용에 따라 나타나 는 도시 간의 계층 구조
• 도시 간 상호 작용의 지표: 도시 간 인적 • 물적 이동, 도시 간 정보 이동, 도시 간 교통량 등
② 도시(중심지)와 계층 구조: 도시가 보유한 기능에 따른 계층 구조가 나타남

(3) 우리나라의 도시 체계
① 특징: 서울은 중심으로 한 수직적 도시 체계를 이룸. 인구와 기능이 서울에 집중하여 종주 도 시화 현상이 나타남, 대도시를 중심으로 성장해 왔으며 최근에는 신도시의 성장이 두드러짐
② 도시 분포: 수도권, 남동 임해 지역 등에 인구 규모가 큰 대도시 분포
③ 발전 방향: 균형 있는 도시 체계를 조성하기 위해 혁신 • 기업 도시를 건설하거나 지방에 중추 도시 생활권 육성, 세계 도시 체계에서 국내 도시의 위상을 높이기 위해 국제 경쟁력을 강화 하고 도시별 특화된 기능을 갖출 수 있도록 노력


도시 구조와 대도시권

1. 도시의 지역 분화와 내부 구조
(1) 도시의 지역 분화
① 의미: 도시가 성장하고 기능이 다양해지면서 도시 내부가 기능에 따라 여러 지역으로 나뉘는 현상
② 특징
• 소도시보다 대도시에서 지역 분화 현상이 뚜렷하게 나타남
• 지역 분화의 결과 상업 지역. 공업 지역, 주거 지역 등이 형성됨
(2) 도시의 지역 분화 요인
① 도시 내 지역에 따라 접근성. 지대 및 지가가다르기 때문에 지역 분화가 발생함
접근성
• 통행이 발생한 지역으로부터 특정 지역이나 시설로의 접근 용이성
• 위치, 거리, 교통의 편리성. 통행 시간 등의 영향을 받음
• 교통이 편리한 지역이 높으며. 도시 중심부가 주변(외곽) 지역보다 높음
지대
• 토지 이용을 통해 얻을 수 있는 수익 또는 타인의 토지를 이용하고 지불해야 하는 비용
• 접근성이 높을수록 지대가 높아지는 경향이 나타남
지가
• 토지의 가격
• 접근성과 지대가 높은 도심과 교통 결절 지역에서 높게 나타남
② 도시 내 각 기능에 따라 지대 지불 능력에 차이가 있음
③ 도시의 지역 분화 과정
집심 현상 상업
업무 기능 등이 도심으로 집중하는 현상 이심 현상
주거공업
기능 등이 도심에서 주변(외과) 지역으로 이동하는 현상

(3) 도시 내부 구조
① 도심
• 주로 도시 중심부에 형성되며 접근성. 지대 및 지가가 높음
• 높은 지대를 지불할 수 있는 중추 관리 기능, 고급 상가, 전문 서비스업 등 고차 중심 기능이 입 지함
• 주거 기능의 이심 현상으로 인구 공동화 현상이 나타남
• 주간 인구 지수가 높음
② 부도심
• 도시가 성장함에 따라 도심과 주변 지역을 연결하는 교통의 결절에 형성됨
• 도심의 일부 기능을 분담함
• 접근성이 양호하여 시대 및 지가가 대체로 높음
③ 중간 지역
• 상점 •공장 • 주택 등이 혼재하는 지역, 도심이 팽창함에 따라 이동해 온 상업 • 공업 • 주거 기능 등이 섞인 점이 지대
• 최근 일부 대도시에서는 주거 환경이 열악한 곳을 중심으로 재개발이 이루어지고 있음
① 주변(외곽) 지역
• 지대가 낮아 주택 • 학교 • 공장 등이 입지하며, 신흥 주백 지역이 형성되기도 함
• 도심으로부터 이전해 온 공업 기능이 입지하거나 농촌 경관이 남아 있기도 함
• 주변 지역 바깥으로는 개발 제한 구역을 지정하여 시가지의 무질서한 팽창(도시 스프콜 현상)을 억제하기도 함

2. 대도시권의 형성과 확대
(1) 대도시권의 형성
① 대도시권: 기능적으로 상호 밀접한 관계가 있는 대도시와 그 주변 지역. 대도시를 중심으로 일상적인 생활이 이루어지는 범위. 대도시로 통근 및 통학이 가능한 범위
② 형성 배경
• 대도시의 지가 상승, 교통 체증. 환경 문제 등이 발생하면서 인구와 기능의 교외화 현상 발생
• 대도시와 주변 지역 간에 광역 교통 체계 발달
• 정부의 인구 분산 정책
③ 형성 과정



(3) 대도시권의 확대
① 배경: 교봉수단의 발달과 교통망의 확충 -> 대도시로의 이동이 편리해져 대도시 주변 지역으 로 거주지 확대
② 우리나라 대도시권 확대의 특징
• 1980년대 이후 서울의 과밀화를 해결하기 위해 주거와 공업 기능 등을 인천 및 경기도 일대로 분산
• 서울의 주택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1980년대 후반 이후 신도시 건설. 주민들의 통근 편의를 위해 수도권 외곽으로 지하철 및 도로 교통망 확충

(4) 대도시권의 변화
① 대도시 근교 지역의 주민 생활
• 대도시와의 접근성이 향상되면서 인구 유입이 증가하고 대도시로 통근하는 주민이 늘어남
• 대단위 아파트 단지가 조성되고 각종 시설이 입지하면서 도시적 생활 양식이 확산되어 촌락
적 요소는 감소함
② 토지 이용의 변화: 대도시권이 확대됨에 따라 대도시 근교 지역 중 교통이 편리한 곳에는 대형 쇼핑센터, 고속 국도 주변에는 대형 물류 센터가 들어서기도 함
③ 배후 농촌 지역의 변화
• 도시적 경관 증가
• 원에 작물과 특용 작물 등 고소득 상품 작물의 시설 재배 확대 -> 토지 이용의 집약도 상승
• 점업농가 증가 - 농업 외 소득 비율 증가, 주민 구성이 다양해지면서 전통적 생활 공동체 의식 약화
• 도시 사람들이 여가를 즐기는 관광농원. 멘션 등의 여가 공간으로 개발되기도 함




도시 계획과 지역 개발

1. 도시 계획의 이해
(1) 도시 계획의 의미와 목적
① 의미: 사람들이 거주하는 도시 공간을 효율적으로 만들고 주거 환경을 개선하여 도시의 여러 기능을 합리적으로 배치하기 위한 계획
② 목적: 급속한 산업화 • 도시화에 따라 발생한 도시 문제의 완화 및 해소. 난개발 방지 및 도시 경관 정비를 통한 주민 삶의 질 향상 등
(2) 우리나라의 도시 계획
1970년대
도시 계획법에서 용도 지역의 종류를 구분하고 개발 제한 구역을 설정함
1980년대
도시 문제에 장기적으로 대처하기 위해 20년 단위의 도시 기본 계획을 제도화함

1990년대 이후
•지역 간 균형 발전. 삶의 질 향상 등에 초점을 맞춤
•최근에는 지역 주인이 참여하는 지속 가능한 도시 개획으로 변화하고 있음

2. 도시 재개발의 이해
(1) 도시 재개발의 목적과 필요성
① 목적: 토지 이용의 효율성 증대, 도시 미관 개선, 생활 기반 시설 확충을 통한 쾌적한 주거 환정 조성, 지역 정제 활성화를 이루는 도시 재생
② 필요성: 급속한 도시화로 기반 시설 부족 및 불량 주택 문제 발생. 소득 수준 향상으로 쾌적 한 주거 환경 및 생활 환경에 대한 요구 증대. 자동차 보급 증가로 도로 및 주차장의 필요성 중대. 업무용 빌딩의 수요 증가 등
(2) 도시 재개발의 방법
철거 재개발
기존의 시설을 완전히 철거하고 새로운 시설물로 대체하는 방법 . 원거주인의 낮은 재정
보존 재개발
착률, 자원 낭비 등의 문제점이 있음
수 재개발
역사 • 문화적으로 보존할 가치가 있는 지역의 환경 악화를 예방하고 유지 • 관리하는 방법 | 기존 건물을 최대한 유지하는 수준에서 필요한 부분만 수리 • 개조하여 부족한 점을 보완하는 방법



(3) 도시 재개발의 유형
도심 재개발
• 배경: 도심의 규모 확대로 주택이나 노후 시설 등이 입지한 지역을 상업 • 업무 지역 등으로 개발
• 영향: 고층 건물의 입지 확대로 효율적인 토지 이용 가능, 공공 주차장 개발과 주차 공간 확보로 교통 문제 완화. 보행자 공간 또는 공원 확보 등
주거지 재개발
• 목적: 노후 주거 지역의 환경 개선과 생활 기반 시설 확충 등
• 방법: 단독 주택을 철거하고 아파트 단지를 건설하는 철거 재개발이 주로 이루어짐
• 영향: 노후 주거 지역 감소, 주거 환경 개선 등
산업 지역 재개발
• 목적 도시 내의 노후 산업 단지나 노후 재래시장 등의 시설 개선
• 영향. 안정적인 일자리 창출. 양질의 지식 기반 산업 발전 축진 등
(4) 도시 재개발의 영향과 바람직한 방향
① 긍정적 영향
• 토지 이용의 효율성이 높아지고 도시 경관이 정비되어 쾌적한 도시 환경이 만들어집
• 도로와 주차 공간, 도보 환경 등이 개선되어 주민의 삶의 질이 향상됨
② 부정적 영향
• 재개발로 늘어난 인구만큼 공공시설이 확충되지 못할 경우 주민 생활에 불편 초래
• 주택 철거 재개발의 경우 주거 비용 증가 등으로 원거주민의 재정착률이 낮아 기존 공동체의 해체 문제 발생, 자영업자는 기존 상권 해체로 영업 환경 변화, 젠트리피케이션으로 갈등 발생
• 개발업자와 원거주민 또는 재개발 지역 내 원거주민 간 이권을 둘러싼 갈등 발생
⑧ 바람직한 방향
• 지역 주민. 지역 단체. 행정 기관 등이 참여하는 민주적인 절차를 거쳐 재개발 진행
• 재개발에 공공적인 목적 도입, 원거주민의 재정착률을 높이기 위한 노력 등

3. 지역 개발
(1) 지역 개발의 의미: 지역의 잠재력을 살려 지역 주민의 삶의 질을 높이기 위한 다양한 활동
(2) 지역 개발의 목적: 지역의 발전을 극대화하고 지역 간 격차를 줄임으로써 주민의 복지를 향상
시키고 국토를 균형 있게 발전시키는 것

③ 제5차 국토 중한 계획(2020~ 2040년)
• 인구 감소와 저성장, 기후 변화 등의 여전 변화에 대비하여 국토 공간을 구상하고 발전 전략 을 제시 - 시행 시기 중 절대적인 인구 감소 시대를 맞게 되는 최초의 계획
• 국토는 개발의 대상보다 관리 • 활용의 대상이라는 인식 변화를 바탕으로 수립
① 지역 개발과 지역 갈등
• 원인: 지역 개발에 따른 이익과 피해 발생. 환경 문제 및 개발에 대한 생각 차이 등
• 영향: 자기 지역의 이익을 지나치게 우선시하는 님비 현상, 핌피 현상 등 지역 이기주의 심화

(5) 바람직한 지역 개발: 지역 격차 완화를 위한 균형 발전 전략 및 도시 • 촌락 주민 모두 다양한
서비스에 접근할 수 있는 지역 행복 생활권의 추진. 지역 간 협력을 바탕으로 한 지역 개발


4. 국토 개발에 따른 공간 및 환경 불평등
(1) 공간 불평등
① 수도권과 비수도권의 격차
• 원인: 1960년대 이후 추진된 성장 위주의 하향식 개발
• 현황: 수도권은 인구. 산업 등의 핵심 기능 집중도가 매우 높음
• 영향: 수도권에서는 집값 상승과 교통 혼잡 등의 집적 불이익 문제 발생, 비수도권에서는 경제 침체와 인구 유출 현상 등의 문제 발생
② 도시와 농촌의 걱차
• 원인: 1960년대 이후 산업화 과정에서 도시를 중심으로 한 일자리 증가에 따른 이혼 향도 현상
• 현황: 도시에 인구와 산업이 집중되면서 농촌에서는 고령화, 생활 기반 시설 부족. 교육 여건 불리 등의 문제 발생
• 해결 노력: 촌락의 정주 기반 강화, 농촌 특색에 맞는 산업 육성으로 소득 향상 방안 모색

(2) 환경 불평등
① 의미: 지역을 개발하고 이용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정제적 수혜 지역과 환정 오염 부담 지역
이 일치하지 않는 것
② 원인: 국토 개발로 인해 공업화된 지역이나 도시의 환경 오염 물질이 바람이나 하천을 따라 다른 지역으로 이동, 환경 오염 시설의 불균등한 분포 등
④ 영향: 지역 간 갈등으로 이어져 사회적 갈등 비용 유발 등


반응형
그리드형
  • 네이버 블러그 공유하기
  • 네이버 밴드에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