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지리 -지형 환경과 인간 생활(한반도의 형성과 산지 지형, 하천 지형과 해안 지형, 화산 지형과 카르스트 지형) - 빨리 시작하는 공부방
반응형
728x170
한반도의 형성과 산지 지형

1. 한반도의 지체 구조
(1) 한반도의 암석 분포
① 변성함: 시 • 원생대의 편마함 및 편암이 대표적임, 한반도 지각의 약 42.6%를 차지하며 분포 면적이 가장 넓음
② 화성암: 중생대에 마그마가 관입하여 형성된 화강암의 분포 범위가 가장 넓음, 신생대의 화산 시상대 활동으로 형성된 화산암(현무암 등)이 분포함
③ 퇴적암: 고생대와 중생대 퇴적암이 대부분이며, 신생대 퇴적암의 분포 면적은 좁음

(2) 한반도의 지체 구조
①오랜 기간에 걸쳐 형성된 구조로 시 • 원생대 지층부터 신생대 지층까지 분포
② 지체 구조의 분포와 특징




2. 한반도의 지형 형성 과정
(1) 한반도의 지각 변동
① 지질 시대별 주요 시각 변동




(2) 기후 변화와 지형 발달
① 신생대 제4기의 기후 변화는 해수 면 변동, 기온과 강수량 변화 등을 유발하여 지형 변화를 가져옴
② 간빙기(후빙기)에는 빙기에 비해 해수면과 침식 기준면이 상승하여 이에 따른 변화가 나타남




3. 산지 지형의 특색과 주민 생활
(1) 산지 지형
① 산지 분포의 특색
• 국토의 약 70%가 산지로 산지 비율이 높으나 해발 고도가 낮은 산지가 많음
• 해발 고도 2.000m 이상의 산지는 한반도 북동부에 주로 발달함
② 동고서저의 정동 지형
• 신생대 제3기 경동성 요곡 운동 발생 - 중부 지방을 중심으로 동고서서의 비대칭적인 경동
지형을 이름
• 함경산백과 태백산맥의 동쪽은 급경사면이며 서쪽은 완경사면임
• 황해로 흐르는 하천은 동해로 흐르는 하천보다 대체로 하천의 유로가 길고 하상의 경사가 완
만함
③ 지질 구조선에 따른 산맥의 방향
• 중생대의 송림 변동으로 랴오둥 방향, 대보 조산 운동으로 중국 방향의 지질 구조선 형성
• 지질 구조선을 따라 오랫동안 침식이 진행되어 일정 방향으로 골짜기와 산맥 발달
④ 1차 산맥과 2차 산맥



(2) 흙산과 돌산




(3) 고위 평탄면과 토지 이용
① 태백산맥, 소백산맥 등의 일부 지역에 고도가 높고 경사가 완만한 사면이 발달함
② 오래 풍화와 침식으로 평탄해진 지형이 정동성 요곡 운동으로 융기한 이후에도 평탄한 기복을 유지함

(4) 산지 지형과 인간 생활
① 산지 지형의 이용 변화: 과거에는 주로 농업이나 임업, 광업에 종사하는 주민이 많았지만, 최근 교통이 발달하면서 뛰어난 경관을 바탕으로 관광 및 레저 산업 등이 발달함
② 산지 지역의 환경 훼손과 대책
• 환경 훼손: 도로, 댐, 스키장, 골프장 등의 건설 -• 삼림 훼손. 산사태 증가, 동식물의 서식지 파괴 등의 문제 발생
• 대책: 생태 지향적 관점에서 산지를 이용하고 개발 - 자연 휴식년제 확대. 생태 몽로 건설 등


한반도의 산지 형성 과정




하천 지형과 해안 지형

1. 하천에 대한 이해
(1) 유역: 하천으로 빗물이 모여드는 범위. 유역 간 경계는 분수계로 이루어짐
(2) 하계망: 하나의 본류와 이에 합류하는 지류로 이루어진 전체적인 수계
(3) 하천 상 • 하류 간 평균값의 상대적 특징



2. 우리나라 하천의 특색
(1) 하천 유로의 특색
① 중 • 북부 지방은 동해안을 따라 높은 산맥이 있어 두만강을 제외한 큰 하천은 황해로 흐름
② 남부 지방은 중앙부에 높은 소백산맥, 동해안을 따라 태백산맥이 있어 큰 하천 중 낙동강과 섬진강은 남해, 금강과 영산강은 황해로 흐름
③ 동해로 흐르는 하천은 두만강을 제외하면 대체로 유로가 짧고 경사가 급함
(2) 유량 변동이 큼
① 강수량이 여름에는 많고 겨울에는 적기 때문에 하천의 유량 변동이 심함, 하상계수가 큼
② 여름에는 홍수 위험이 크고, 그 외의 계절에는 강수량이 적어 수력 발전과 하천 교통에 불리함
③ 대책: 댐, 저수지, 보 등의 수리 시설 건설 및 산림녹화를 통한 녹색 댐 기능 강화
(3) 감조 하천
① 밀물과 썰물의 영향으로 수위가 주기적으로 오르내리는 하천
② 조차가 큰 해안으로 유입되고 하루의 하상 경사가 완만한 하천에서 잘 나타남
③ 밀물 때 바닷물의 유입으로 주변 농경지가 염해를 입을 수 있고, 하천 유역 내 집중 호우와 밀물이 겹치면 홍수 피해가 커질 수 있음
④ 낙동강, 금강, 영산강 하구에는 염해 방지. 용수 확보 등을 위해 하굿둑이 건설되어 있음


3. 하천 중 • 상류 일대의 지형
(1) 감입 곡류 하천
① 산지 사이를 곡류하는 하천으로 주변에는 하안 단구가 분포함
② 신생대 지각 변동의 영향으로 지반 융기량이 많았던 대하천 중 . 상류의 산지 지역에 발달함
③ 하천 주변의 경관이 아름다워 관광 자원. 래프팅 활동 장소 등으로 이용됨
(2) 하안 단구
① 하천 주변에 분포하는 계단 모양의 지형으로 과거의 하천 바닥이나 범람원이 지반 융기 또는 해수면 하강에 따른 하천 침식으로 형성됨
② 하얀 단구면은 하상보다 해발 고도가 높아 집중 호우 시에도 침수 가능성이 낮고 경사가 완만 하여 농경지, 주거지 등으로이용됨
③ 단구면의 퇴적층에는 하천의 영향으로 형성된 둥근 자갈이나 모래가 분포함

(3) 선상지
① 형태와 분포
• 하천이 운반한 물질이 부채 모양으로 퇴적된 지형
• 주로 유로의 경사 급변점이 나타나는 하천 중 • 상류에 분포
② 형성 원인: 하천의 유로가 좁고 경사가 급한 산지에서 넑 고 완만한 평지에 이르는 곳은 유속이 감소하면서 토사
가 퇴적됨
⑧ 지형 특색: 선정, 선양, 선단으로 구분됩
• 선정: 선상지의 정상부로 계곡물을 이용할 수 있어 취락이 입지
• 선양: 선상지의 중앙부로 하천이 복류하여 지표수가 부족하므로 수리 시설이 발달하지 않았던 과거에는 주로 밭이나 과수원 등으로 이용
• 선단: 선상지의 말단부로 용천이 분포하여 주거지, 논 등으로 이용

(4) 침식 분지
① 산지로 둘러싸인 평지로, 암석이 차별적인 풍화와 침식 작용을 받아 형성됨
② 변성암이나 퇴적암이 화강암을 둘러싸고 있는 지역이나 하천의 합류 지점에서 주로 발달함
③ 주기 및 농경의 중심지로 발달함
예) 한강 유역의 춘천 • 양구(해안면), 낙동강 유역의 거장 등
① 산지로 둘러싸여 있어 기온 역전 현상이 나타나기도 하며, 이로 인해 안개도 발생함


4. 하천 중 • 하류 일대의 지형
(1) 자유 곡류 하천
① 평야 위를 곡류하는 하천으로 측방 침식이 우세하여 유로 변경이 잘 이루어짐
② 대하천 중• 하류의 빔람원 위를 흐르는 지류 하천에서 잘 형성됨
③ 하천의 유로 변정 과정에서 우각호, 구하도 등이 형성됨
④ 최근에는 직강 공사를 실시한 곳이 많아 자유 곡류 하천이 많이 사라짐
(2) 범람원
① 하천의 범람에 의해 운반된 물질이 장기간에 걸쳐 퇴적되어 형성된 지형
② 지형 특징: 자연 제방과 배후 습지로 구성

(3) 삼각주
① 하천 하구에서 유속의 감소로 하천이 운반하던 토사가 쌓여 형성된 퇴적 시형
② 조류에 의해 제거되는 토사의 양보다 하천이 공급하는 토사의 양이 많은 지역에서 잘 형성됨
③ 낙동강 하구 등지에 발달 - 농정지 등으로 이용

5. 해안과 해안 지형
(1) 해안 지형을 형성하는 작용
① 해안 지형은 파랑, 연안류, 조류, 바람 등의 침식 • 퇴적 작용으로 형성됨
② 해안 지형은 지반의 융기. 기후 변화에 따른 해수면 변동의 영향을 받음
(2) 곶과 만에서의 지형 형성 작용





(3) 우리나라 해안의 특징
① 동해안: 태백산맥과 함정산맥이 해안선과 대체로 평행하여 해안선이 단순함
• 석호 발달, 신생대 지반 융기의 영향으로 해안 단구 분포
• 유입되는 하천의 길이가 짧고 경사가 급하여 퇴적 물질의 평균 입자 크기가 서 • 남해안보다 큼
② 서• 남해안: 산맥과 해안선의 방향이 대체로 교차하여 해안선이 복잡한 리아스 해안이 발달함
• 한강, 금강 등 큰 하천의 운반 물질이 많고 조차가 커서 갯벌 발달
• 큰 조차에 따른 특수 항만 시설 발달 예 인천의 갑문. 군산 등지의 뜬다리 부두
(4) 해안 침식 지형
① 형성: 주로 곳에서 파랑의 침식 작용으로 형성됨
② 암석 해안
• 해식애: 파랑의 침식 작용으로 형성된 급경사의 해안 절벽
• 해식동: 해식애의 약한 부분이 집중적으로 침식되어 형성된 동굴
• 시 아치: 파랑의 침식 작용으로 바위가 뚫려 형성된 아치 모양의 지형
• 시 스택: 파랑의 침식 작용으로 주변부가 제거되고 남은 돌기둥 혹은 작은 바위섬
• 파식대: 파랑의 침식 작용으로 형성된 비교적 평탄한 지형, 해식애가 육지 쪽으로 후퇴하면 서 점점넓어짐
③ 해안 단구
• 과거의 파식대나 해안 퇴적 지형이 지반 융기 또는 해수면 하강에 의해 현재 해수면보다 높은 곳에 위치하게 된 계단 모양의 지형
• 지반 융기량이 많았던 동해안에 주로 발달, 농경지로 이용되거나 취락이 입지

(5) 해안 퇴적 지형
① 형성: 주로 만에서 파랑, 연안류, 조류 등의 퇴적 작용으로 형성됨
② 다양한 지형
•사빈: 하천 또는 주변의 암석 해안으로부터 공급되어 온 모래가 파랑 및 연안류의 퇴적 작용 을 받아 형성됨, 주로 해수욕장으로 이용
• 해안 사구: 사빈의 모래가 바다로부터 불어오는 바람에 날려 퇴적되어 형성된 모래 언덕
• 사주: 파랑 및 연안류에 의해 운반된 모래가 퇴적되어 형성된 좁고 긴 모래 지형
• 육계도와 육계사주: 사주에 의해 육지와 연결된 섬을 육계도라 하고, 육계도와 연결된 사주를 육제사주라고 함
• 석호: 후빙기 해수면 상승으로 형성된 만의 입구에 사주가 발달하여 바다와 분리되면서 형성 된 호수, 동해안에 많이 발달해 있음, 관광 자원으로 활용
③ 갯벌: 조류의 퇴적 작용으로 형성됨. 밀물 때는 침수되고 썰물 때는 드러남
• 형성: 하천에 의한 토사 공급량이 많고 조차가 크며 수심이 얇고 해안선이 복잡한 곳에서 잘 발달
• 기능과 이용: 다양한 종류의 생물이 서식하고 오염 물질 정화 기능이 있음. 태풍이나 해일 등 의 피해를 완화해 주며 양식장이나 염전으로 이용



6. 하천 및 해안의 이용과 변화
(1) 인간 활동에 의한 하천 지형의 변화
① 하천에 댐, 저수지, 보 건설 및 모래 준설
• 목적: 물 자원 확보, 전력 생산. 건설 자재 생산 등
• 영향: 수몰 지역 발생, 안개 발생 빈도 증가, 해안으로 공급되는 모래의 양 감소
② 하전 중 . 하류의 습지 개간 및 하전 직강화
. 그로인 설치 후의 변화
• 목적: 농경지 확보, 시가지 확대 등
• 영향: 하천 주변의 생태계 파괴, 하천 하류 일대의 홍수 위험성 증가
③ 도시를 흐르는 하천의 변화
도시화 이후의 하천 수위 변화
• 복개되어 교통로로 이용되는 하천이 많음
• 콘크리트 제방 공사, 직강 공사, 위락 시설 건설. 하천 골재 채취 등으로 하천 지형 및 생태계 파괴
• 근래 생태 하천으로 복원하는 사업 진행

(2) 인간 활동에 의한 해안 지형의 변화
① 간척: 방조제를 건설하여 갯벌을 농경지, 공업용지 등으로 이용
② 하굿둑, 방조제 건설: 해안에 공급되는 토사의 양 감소, 갯벌• 사빈• 사구의 축소 가능성 증가
③ 해안에 도로, 제방, 휴양 시설 등 건설: 모래의 침식이 활발해지면서 사빈 침식, 사구 파괴 등 의 문제 발생
(3) 해안 침식의 대책
① 해안 침식을 방지할 수 있는 환경친화적인 해안 이용 및 보호 관리
② 모래 포집기, 그로인 등의 시설을 활용하여 모래 침식 완화
• 모래 포집기: 모래 침식 부분에 울타리같이 설치한 인공 구조물
• 그로인: 일정한 간격을 두고 바다 쪽으로 축조한 인공 구조물



화산 지형과 카르스트 지형

1. 화산 지형
(1) 화산 지형의 형성과 분포 및 유형
① 형성: 지하의 마그마가 지각의 틈을 통해 지표로 분출하여 만들어짐, 주로 신생대 제3기 말~ 제4기에 형성됨
② 분포: 백두산, 제주도, 울릉도, 독도, 철원• 평강 일대 등
③ 유형

① 백두산
• 우리나라에서 해발 고도가 가장 높은 산으로 경사가 급한 산 정상부를 제외하면 전체적으로 경사가 완만한 지형을 이룸
• 전지: 분화 후 분화구 부근이 함몰되어 형성된 칼데라에 물이 고인 칼데라호
• 백두산과 그 주변의 개마고원 북부 지역은 우리나라에서 가장 넓은 화산 지대를 이름
② 제주도
• 한라산: 산록 부분은 순상 화산, 산의 정상 부분은 종상 화산을 이루는 복합 화산
• 백록담: 분화구에 물이 고인 화구호
• 기생 화산(측화산): 소규모 용암 분출이나 화산 쇄설물에 의해 형성된 작은 화산
• 용암 동굴: 점성이 작은 용암이 흘러내릴 때 주로 표충부와 하층부의 냉각 속도 차이에 의해 형성됨예만장굴、김녕굴、벵뒤굴등
• 기반암인 현무암에 절리가 발달함.   용암이 냉각되는 과정에서 수축되면서 형성된 주상 절리 발달, 지표수가 부족하여 주로 밭농사가 이루어지고 건천이 나타남. 해안에는 용천대가 발달함
③ 유룽도와 독도
• 유도: 주로 점성이 큰 조면암질 용암이 분출하여 형성된 종 모양의 화산섬. 섬 중앙부에 칼 데라 분지(나리 분지)와 칼데라 분지 내부에서 용암이 분출하여 형성된 중앙 화구구(알봉)가 있는 이중 화산체
• 독도: 동해의 해저에서 용암이 분출하여 형성된 화산섬
④ 철원 • 평강 일대의 용암 대지
• 점성이 작은 현무암질 용암이 열하 분출(틈새 분출)하여 당시의 골짜기나 분지를 메워 형성됨
• 한탄강 • 입진강 주변에 주상 절리가 발달함, 수리 시설을 이용하여 벼농사가 이루어짐

2. 카르스트 지형
(1) 형성과 분포
① 형성: 석회암의 주성분인 탄산 칼슘이 빗물이나 지하수의 용식 작용을 받아 형성됨
② 분포: 고생대의 조선 누충군이 분포하는 강원도 남부. 충청북도 북동부, 경상북도 북부 일대를 중심으로 분포

(2) 주요 지형
① 돌리네
• 석회암 지대에서 빗물이 지하로 스며드는 배수구(싱크홀)의 주변이 빗물에 용식되어 형성된 깔때기 모양의 우묵한 지형
• 주변에서 모여든 토사가 쌓여 두꺼운 토양층이 형성되어 있으며 배수가 양호하여 주로 밭으로 이용됨
• 용식 작용이 진행되면서 두 개 이상의 돌리네가 합쳐지면 우발라가 됨
② 석회 동굴
• 석회암 지대에서 지하수의 용식 작용을 받아 형성된 동굴로 절리 밀도가 높은 지역에서 잘 발 달함, 동굴 내부에 종유석 • 석순• 석주 등이 발달함
• 관광 자원으로 활용됨 예 고수 동굴(단양), 고씨굴(영월), 환선굴(삼척) 등

(3) 토양과 자원
① 석회암 풍화토: 석회암이 용식된 후 남은 철분 등이 산화되어 형성된 붉은색의 토양
② 석회석: 시멘트 공업의 주된 원료로 이용됨

반응형
그리드형
  • 네이버 블러그 공유하기
  • 네이버 밴드에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