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구 과학 - 기압과 날씨의 변화, 태풍과 우리나라의 주요 악기상 - 빨리 시작하는 공부방
반응형
728x170
기압과 날씨의 변화
기상 위성 영상
가시광선 영상(구름의 두께)

구름과 지표면에서 반사된 태양빛의 반사 강도를 나타내는 것으로, 반사율이 큰 부분은 밝게 나타내고 반사율이 작은 부분은 어둡게 나타낸다. 태양빛이 없는 야간에는 이용할 수 없다.

적외선 (높이 ,온도)

물체가 온도에 따라 방출하는 적외선 에너지양의 차이를 이용하는 것으로 온도가 높을주록 어둡게 나타내고 온도가 낮을수록 밝게 나타낸다. (야간에도 구름 관측이 가능하다.)



일기도

여기서 눈에 익혀둘 것 : 기온 위치, 기압읽기, 풍속 풍향읽는법 : 운량위로 꼽히는 막대기에 (운량위에) 화살표 그리고 어디서 불어오는지 체크 (위그림 : 북서풍)
기압읽는법 : 세자리중 뒤의 한자리앞에 소숫점 붙인다. (1기압이 약 1013hPa 이기때문)
따라서 위 그림의 경우 1028 hPa


온대 저기압의 생성, 소멸

여기서 기억할 것은 색깔쳐진 부분 : 강수구역
강수구역 위치 파악해두기!!
그리고 정체전선 - 온대저기압 - 폐색전선 - 소멸
온대저기압은 주로 한대전선대 60N에서 형성된다.




키 작은 고기압 . 키 큰 고기압


추워서 움츠려서 키가 작은 고기압! = 시베리아고기압= 한랭 고기압
더워서 안 움츠려서 키가 큰 고기압! = 북태평양고기압= 온난 고기압




일기도 분석

A: 한랭전선 , B : 온난전선, C : 장마전선 (정체전선)
A,B는 서쪽에서 동쪽으로 이동 C는 북상 남하!
빗금= 강수구역
cf) 한랭전선 : 찬공기가 따뜻한 공기 밑으로 밀고 들어가 따뜻한공기를 들어 올리면서 형성
온난전선 : 따뜻한 공기가 찬공기를 타코 올라가며
속도 : 한랭전선 > 온난전선 장마전선을 기준으로 전선면의 고도는 북쪽방향으로 올라갈수록 높아진다.


단순 개념


이동성 고기압: 양쯔강 기단일때
정체성 고기압: 북태평양 고기압, 시베리아 고기압
이동성고기압은 정체성고기압에서 일부가 떨어쳐 나와 이동
규모 : 대체로 이동성고기압 < 정체성 고기압



온대 저기압의 생성, 소멸

아래에 있는게 더차다.
이후, 온대저기압이 이동하여 전선이 통과할때, 기온변화는 B < C 그리고 강수구역은 색칠한 부분



전면, 후면 구분

한랭전선의 후면에 소나기 좁게. 온난전선의 전면에 이슬비 넓게.





태풍과 우리나라의 주요 악기상
태풍과 우리나라의 주요 악기상


태풍은 이동속도가 느릴수록, 해양 표층수온이 높을수록  해양으로부터 많은 에너지를 공급받을 수 있다.
위 자료를 봐도 해양 열용량은 저위도일수록 높음을 가늠. (표층수온)




태풍이 북상하는 경우이다.
태풍의 기압곡선은 대체적으로 v 이다. 기압은 브이곡선.
반면, 열용량은 위의 설명대로, 북상할수록 해양의 표층수온이 감소하므로 대체로 감소하는 추세.
* 태풍의 에너지원은 수증기의 잠열 이니 해양의 표층수온이 높을수록 해향 열용량이 비교적 크고,태풍에 공급될수있는 에너지가 많으므로 태양의 세력이 커지거나 유지된다.
하지만 해양 열용량이 비교적 낮은 해역으로 이동하면 에너치 공급이 줄어 점차 중심 기압이 높아진다
위 자료상으로도 0~36h동안 기압이 낮아지므로 세력 증가



태풍의 눈

위 자료는 북반구 중위도해역 의 상황이다.
풍속은 색깔이 짙을수록 센데, 사진상 중심에 하얀 부분 = 태풍의 눈 = 하강기류 , 저기압 ㄱ 으로 이동한다 가정할때, 진행방향의 오른쪽에 대체로 풍속이 세고 왼쪽은 그에비해 약하다
• 부분 = 위험반원이라 할 수 있다. (풍향 시계방향)



태풍과 온대저기압

왼쪽 태풍, 오른쪽 : 온대저기압 이 태풍의 경우 이동방향은 편서풍의 영향을 받는다.
그리고 A지역의 풍향이 반시계방향으로 변한다.
이 온대저기압은 이동방향은 편서풍의 영향
A지역은 시계방향 ( 저기압 중심이 이지역위로 지나감)
폐색되지않는 초건하, 저기압의 영향을 받는 동안 맑거나 비가 올 수 있다.

태풍
27도 이상
17m/s
5-25°N.S
남반구보다는 북반구 더 많음
25 N.S 이상은 온도가 너무 낮아서 안됨  .:X
적도는 용승T :. X



단순 개념

1. 우박은 여름, 겨울에는 발생빈도가 낮다.
이유는 겨울: 우박이 생성될 만큼의 강한 상승기류를 동반한 적란운이 잘 발생X
한여름 : 우박이 떨어지는동안 녹아서 사라짐
2. 대기 불안정으로 발생하는 국지적인 현상들은 예측하기 어렵다 (ex> 소나기 구름)
3. 뇌우는 시간당 강수량 성술단계 > 소멸단계 그림상 소멸단계에서 약한비가 성숙단계보다 많이 내려 보이는데 양은 그렇지않음. 성숙단계 : 강한비 많은 양
4. 집중호우는 한 시간에 30mm이상이나 "하후에 80mm 이상의 비가'내리은 현상
5. 수평규모 : 태풍 > 뇌우. 둘의 수직규모는 비슷하다.
6. 황사는 발원지역 : 저기압 상승기류
발생지역 : 하강기류 주로 봄철.
훨상는 건중 결을찾을 짐나고. 열었던 토양이 녹기 시작하는 봄에 주로 발생한다
토양이 녹으면서 가벼운 모래먼지들이 날라다님. BUT 빙하 물이 녹으면 황사 감소
황사는 지표면의 토양이 건조할수록 발원하기 쉬운데 강수량이 적고 증발이 잘되는 지역일수록 (특히 사막) 건조한 상태가 나타나기 쉽다.
7. 서해안의 폭설: 겨울철에 시베리아 기단이 황해 상에서 변질되어 (수증기가 해안으로부터 다량 공급) 기층이 불안정해져, 상승기류가 발달할 때 잘 발생한다.
8. 태풍에 위한 기압하강에 의한 수면상승. 눈에 가까워질수록 해수면 상승
9. 풍속은 등압선의 간격이 조밀할수록 강하게 나타난다


태풍의 풍속

태양의 눈이 이 지역을 통과한다면 풍속은 M자형, 그러나 M자형이 아니므로 멀리서 근접할 정도로 통과.
태풍의 중심이 관측 지점에 가장 근접할때 = 기압최저점
+추가)
폭풍해일에 의한 피해는 기압에 의한 해수면상승과
바람이 강할 때 크다.

반응형
그리드형
  • 네이버 블러그 공유하기
  • 네이버 밴드에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