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구과학 - 해수의 성질, 해수의 특성, 해수의 순환, 대기와 해양의 상호 작용 - 빨리 시작하는 공부방
반응형
728x170
해수의 성질


우리나라 주변

- 표층수온 : 2월 < 8월
남북간 표층수온의 차 2월 > 8월
표층수온은 태양복사에너지가 강하고 여름철8월),  난류의 영향을 받는 해역(남해)에서 더 높다 황해는 동해보다 표층수온의 연교차가 크다.
- 표층염분 : 2월 > 8월
강수량이 많은 여름철에 대체로 낮고, 강물이 유입되는 연안에서 낮다 황해가 통해보다 담수의 유입이 많다
염분 : 한류 < 난류




단순 개념

바람의 세기가 강할수록 혼합층의 두께가 두꺼워진다.
수온약층이 뚜렷하게 발달한디 = 깊이에 따른 혼도변화폭이 크다, 표층수온이 높다 표층염분: 연안 < 대양의 중심부 ( 연안은 담수유입 많음)
극지방은 대기 대순환에 의해 고압대이지만 기온이 낮아 증발량이 적고 빙하가 융해되어 표층염분이 낮다.
느 밀도 가 수온이 낮고, 염분이 클수록 높은데, 고위도로 갈수록 수온이 낮아짐에도 불구하고 일정 고위로부터 밀도가 맞아지는 이유이다.







표층염분의 분포


표층염분은 대체로 (증발량 - 강수량)에 비례한다.
위도 30도 부근은 고압대가 형성되어 있다.
북극해가 남극해보다 빙하의 융해가 활발하다.
L 90N지 점에서 증강량이 90S와 비슷한데.
표층염분이 훨씬 낮기때문이다



해수의 특성

해수의 밀도가 증가하는 경우 : 수온 낮, 염분 높, 수압 강 용존기체의 양이 증가하는 경우 : 수온 낮, 염분 낮, 수압 강 용존 기체양 = 기체 용해도 근데, 염분 : 난류 > 한류, 용존기체양 : 난류 < 한류 위 세줄은 난류, 한류와 다른 개념임.


B:C를 질량 1:1로 혼합한 해수의 밀도는 둘의 밀로희 1/2이 아니다.
ㄱ 방향으로 갈수록 밀도는 커진다
(수온이 낮아치고 염분이 높아지므로)



용존 산소량

A층에서는 대기로부터 산소공급과 광합성이 활발
B층에서는 해양생물의 호흡
(생물에 의한 용존 산소 소비량)이 더 활발
C층에서는 심층순환으로 인해 용존 산소량이 증가
용존 이산화탄소의 경우
A-B층에서 광합성으로 인해 양이 적다가
깊이가 깊어칠수록 점점 증가하는 추세






태풍의 영향

태풍이 통과하면 강풍+집중호우로 인해 해수의 혼합작용이 확발하게 일어나며
강수에 의해 표 해주의 염분히 낮아진다
수온그래프에서 확인할 것 : 혼합층의 두께 (A> B)
A는 태풍이 통과한 후의 그래프






수온의 연직분포 (여름 vs 겨울)

1. 먼저 수온 그래프의 혼합층 두께를 본다.
(가) > (나)이므로 (가)는 겨울, (나)는 여름 바람은 (가) > (나) 라는 소리니까.
2. 수온약층에서 상부와 하부 밀도차가 크다.
=수온약층이 뚜렷하다. 크게 발달했다. = 깊이에 따른 수온 변화폭이 매우 크다.
따라서 수온약층에서의 수온변화폭은 (나)가 크므로 상부와 하부의 밀도차는 (나)가 크다.
3. 표층 해수의 용존 이산화 탄소량 = 온도낮을수록
ex) 시원한 콜라의 탄산> 미치근한 콜라의 탄찬 생각해
따라서 (나) 보다 겨울인 (가) 가 높다





단순 개념

해수의 밀도가 수온 vs 염분 어느게 영향을 크게 받는지는 그때그때 그래프를 보고 해석한다.
위도30도 지역이 위도60도 지역보다 수온약층이 두껍다.
L 고위도 지역은 표층해수에 흡수되는 태양복사E가 매우 적어서 수온약층이 발달하지 못한다.




그림 해석 (북대서양 vs 북태평양)

(가)위 지구그림에서 화살표의 범위가 대서양 < 태평양
이는 북태평양의 심층해수가 더 오래전 형성됨을 의미 = 용존이산화탄소량 많, 용존산소량감소청도'금 (A)
최근 해수 = 용존 산소량 많, 오래된 해수= 용. 이량 많





해수의 순환
단순개념

밀도 : 남극 중층수 < 북대서양 심층수 < 남극 저층수
(회울때 중심저' 로 외우기. 깊이에따른 수괴 적기 쉬워짐)
남극 중층수는 60도S 부근에서 만들어진다.
남극 저층수는 원래 온도가 낮지만 결빙이 일어나면서 염분이 높아져 밀도가 커져 침강한다.
도리고 남극 주변 웨텔해에서 형성된다.
북대서양 심층수는 겨울철 온도가 낮아지면서 밀도가 커져 침강한다.
북대서양의 그린란드 해역에서 형성된다.
위도에 따른 수온변화가 크면 등수온선의 간격이 좁다.
- 주로 한류 난류가 만나는 지점



북대서양 표층해류 (아한대 순환)

꼭 어떤 해류인지 몰라도된다. 아마 수온이 주어질 것 고 - 저위도로 가는 해류 : 한류 저 . 고위도로 가는 해류 : 난류 이므로 기온 AKB , 용존산소량 A>B , 수온 A<B
"B해역을 흐르는 해류는 저위도의 에너지를 고위도로 수송
B해역은 A해역보다 같은 질량의 바닷물에서 더 많은 양의 염류를 얻을 수 있다. (난류)

추가 설명
엘니뇨와 라니냐와 연관짓는다면,
L 해역기준 평상시 : 적도용층으로 수온이 낮아 흡수량>방출량 라니냐: 흡수량 더 커짐 (수온 낮아져서)
엘니뇨 : 방출량 증가 (수온높아지니까)



지구의 자전

지구가 자전하지 않을 때 (가)
: 북반구 북풍, 남반구 남풍
60도NS 전선 X, 남극 순환류 약화 지구가 자전하건 안하건
전위독의 에너지간 고위독로 순.
적도를 경계로 대기대순환이 대칭
위도60도N의 지상에서 남북 방향
의 기온 차는 (나)가 더 크다.






해양의 연평군 일 출입량

해수는 저위도에서 대기로부터 열을 흡수하여 난류의 형태로 저우,도에서 고위도 쪽으로 이동하면서 대기로 다시 열로 방출한다.
고위도에서 저위도 쪽으로 한류가 흐르면서 대기로부터 열을 흡수한다.
연평균 기온 : 방출하는 양이 많을수록 높다 B > C
이해하기힘들면
수온이 높은애들이 방출, 낮은애들이 흡수한다로 외우자.




대기와 해양의 상호 작용
엘니뇨 또는 라니냐

평상시 : 북(남)적도해류에 의해 해수는 대부분 서 로 해우면 높이는 서가 동보다 훨씬 높다.
엘리뇨 때는 북(남)적도 해류가 약해져 적도 반류 (경사류)가 뚜렷해지기 때문에
동태평양 적도 부근 해역의 해수면 높이는 평상시보다 높다.
라니냐때는 서태평양 적도 부근 해역의 해면 기압은 평상시보다 낮다.



연안용승 (북반구: 바람방향의 오른쪽)

(가)의 경우 연안에서 침강, (나)의 경우 연안에서 용승 따라서 (나)에서는 온도 A> B, 밀도 A < B 이다.
침강이 일어날 때는 표층 해수의 밀도는 해안으로부터의 거리에 따라 큰 변화가 없고 용승이 일어날 때는 해안에 가까울수록 표중해수의 밀도가 커진다.




예를 들어 엘니뇨때, 서태평양의 경우 용승때문이아니라 무역풍의 약화로 인해 따뜻한 해수층이 얇아져 혼합층이 얇아지면서 수온약층의 시작 깊이가 얕아진다.
항상 엘니뇨 , 라니냐는 무역풍을 기점으로 생각하자.
* 추가개념
남극 순환류가 강해지면, 저위도에서 남극대륙 주변으로 열을 공급하는 난류가 차단되어 평균 기온이 현재보다 하강할 것이다.

반응형
그리드형
  • 네이버 블러그 공유하기
  • 네이버 밴드에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