춘산에 눈 녹인 바람~ |우탁

현대어 풀이
봄 산에 눈 녹인 바람이 잠깐 불고 간 데
없다
잠시 동안 (그 봄바람을 빌려다가 머리 위 에 불게 하고자
귀 밑에 해 묵은 서리(백발)를 녹여 볼까
하노라
작품 분석
• 감상 루틴 3단계
① 화자는? 명시되지 않음.
② 상황은? 봄바람에 눈이 녹은 산을 바라보며, 봄바람이 자신의 백발도 녹여 주기를 바람.
③ 정서나 태도는? 늙음을 탄식하면서도, 다시 젊어지기를 소망하고 있음.
• 이 작품은 고려 말 우탁이 늙음을 안타까워하여 지은 탄로가로, 봄바람이 눈 덮인 산을 녹이듯 자신의 백발 또한 자연의 힘을 빌려서라도 없앤 후 젊음을 되찾고 싶은 소망을 드러내고 있어요. 늙을 수밖에 없는 인생의 무상함을 탄식하면서도, 따뜻한 봄바람이 해 묵은 서리 같은 자신의 백발도 녹여 주길 바라는 마음을 비유적 으로 잘 표현해 낸 작품이랍니다.

핵심 정리
갈래 평시조
주제 늙음에 대한 탄식과 다시 젊어지고 싶은 소망
특징
① 시어의 대비를 통해 화자의 처지를부각함
② 색채 이미지를 활용하여 주제를 효 과적으로 드러냄.
③ 젊음을 되찾고 싶은 화자의 소망을 비유들 활용하여 표현함.
수능 출제자의 눈
이 작품은 다시 젊어지고자 하는 화 자의 의지를 색채의 유사성을 활용한
비유적 표현을 통해 효과적으로 묘사하 고 있어요. 만약 「춘산에 눈 녹인 바 룸~이 출제된다면 표현상 특징에 대 해 묻는 문항이 포함될 수 있으니 잘 정 리해 두길 바랍니다. 또한 우탁이 지온 시조 중에는 이 작품 외에도 늙음을 한 탄하는 주제를 담고 있는 시조가 더 있 답니다. 「훈 손에 막디 잡고~가 그중 하나이지요. 이 작품과 견주어 감상해 보기를 권합니다.
이화에 월백하고~|이조년

현대어 풀이
배꽃에 하얀 달빛이 비추고 은하수가 자정
을 알리는 때에
나뭇가지에 어린 봄의 정서를 자규가 알겠
냐마는
정이 많은 것도 병인 듯하여 잠을 이루지
못하노라
작품 분석
• 감상 루틴 3단계
① 화자는? 명시되지 않음.
② 상황은? 봄밤의 정경을 바라보며 잠을 이루지 못하고 있음.
3 정서나 태도는? 장에 들지 못할 만큼 애상에 잠겨 있음.
• 이 작품은고려 후기의 문신인 이조년이 지은 평시조로, 어느 봄날의 깊은 밤 '이화', '월백', '온한'이 자아내는 시각 적 풍경과 전통적으로 한의 이미지를 가진 '자규'라는 소재를 제시하여 화자가 느끼는 애상감을 잘 나타내고 있어요. 다정가라고도 불리는 이 작품은 고려 시조 중 표현 기법이나 정서면에서 문학성이 뛰어나 다고 평가 받는 작품 중 하나랍니다

백설이 자자진 골에~|이색

작품 분석
• 감상 루틴 3단계
① 화자는? 명시되지 않음.
② 상황은? 국가로서의 운명이 다해 가는 고려 왕조를 보며, 우국지사를 기다리고 있음.
③ 정서나 태도는? 쇠락해 가는 고려 왕조에 대한 탄식과 안타까움을 드려냄.
• 이 작품은 저물어 가는 고려의 운명을 바라보는 안타까운 심정을 자연물을 활용하여 형상화한 작품으로, 역사적 전환 기에 직면한 지식인의 고뇌를 잘 표현하고 있어요. 조선을 건국하려는 신흥 세력은 날로 커져만 가고 고려 왕 조는 점점기울어 가는 상황에서, 고려를 지킬 우국지사들은 어디에 있는지 찾기가 어려움을 안타까워하고 탄식하는 작자의 심정을 드러내고 있어요

핵심 정리
갈래 평시조
주제 봄밤에 느끼는 애상감
특징
① 계절감을 환기하는 소재를 사용함.
② 선경후정의 방식으로 시상을 전개함.
③ 자연물을 활용하여 시적 분위기를조성함.
수능 출제자의 눈
이 작품은 2015학년도 6모평 A형.
2006학년도 6모평 A형에 출제된 적이 있습니다. 2015학년도에는 이정보의 「국 화야 너는 어이~ , 최치원의 「촉규화 와 표현상 공동점 파 악하기, 시어 및 시구 이해하기 문항이 출제되었습니다. 2006학년도에는 사설 시조 「귀뚜리 저 귀뚜리~ , 윤오영의 「쓰고 싶고 읽고 싶은 글과 표현상 공통점 파악하기, 작품 접근 방 법 구분하기, '자규'의 시적 기능 파악하 기 문향이 출제되었습니다. 이 작품은 EBS 연계 교재에도 수록된 바 있으므로 작품의 내용을 잘 파악해 둘 필요가 있 습니다.
학생들이 자주 묻는 질문
'자규'는 구슬픈 울음소리로 인해 문학 작품에서 주로 '한'을 상징하는 소재 로 등장해요. 이러한 특징으로 인해 '자 규'를 청각적 이미지를 연상시키는 것으 로 보기도 한답니다. 이 작품에서도 자 규의 울음소리가 직접적으로 나타나지 는 않지만 깊은 밤중에 화자가 '자규'를 인식하고 있다는 점에서 청각적 이미지 들 환기한다고 해석하기도 해요. 만약 이 내용이 시험에 출제가 된다면, 주어 진 외적 준거나 다른 선지와 비교를 동 해 상대적으로 정오를 판단해야 해요.
사리화 1 이제현

작품 분석
• 감상 루틴 3단계
① 화자는? 명시되지 않음.
② 상황은? 참새가 늙은 홀아비가 홀로 갈고 맨 받의 벼여 기장을 다 없애고 있음.
③ 정서나 태도는? 한 해 동안 지은 농사를 망치는 참새들 비판함.
• 이 작품은
고려 후기의 학자인 이제현이 당시 민간에서 불리던 노래를 한시로 번역한 것입니다. 탐관오리가 힘없는 백성들을 수탈하는 것을, 참새가 농민들이 애써 농사지은 곡식을 쪼아 먹는 것에 빗대어 우회적으로 풍자하 고 있어요. 관리들의 가혹한 수달에 대해 정면으로 대항하지 못하고 참새에 빗대어 노래할 수밖에 없었던 백성들의 서글픈 처지가 잘 드러나고 있답니다.

핵심 정리
갈래 한시
주제 지배층의 가혹한 수탈에 대한 비 판과 수탈로 인한 농민의 피폐한 삶
특징
① 말을 건네는 방식으로 사상을 전개함.
② 권력자들의 수탈과 횡포를 비유적 으로 고발함.
③ 상징적 소재를 활용하여 당시 민족적 현실을 우회적으로 풍자함.
수능 출제자의 눈
이 작품은 2023학년도까지의 기출 을 분석했을 때, 아직까지 평가원에서 출제된 적은 없어요. 그러나 관리들의 횡포를 비판하는 내용의 유사한 작품들 이 EBS 연계 교재에서 다뤄진 적이 꽤 있었다는 점을 고려하면, 이들 작품과 견주어 출제될 가능성이 얼마든지 있습 니다. 그러니 이 작품의 중요한 특징 정 도는 꼭 정리해 두기 바랍니다.
부벽루 1이색

작품 분석
• 감상 루틴 3단계
① 화자는? 명시되지 않음.
② 상황은? 부벽루에 올라 주변 경치를 바라보며 지난날을 회상함.
③ 정서나 태도는? 인간사의 유한성을 깨닫고 인생의 덧없음에 쓸쓸해하고 있음.
• 이 작품은 고려 말의 충신인 이색이 고구려의 옛 도읍인 평양성 인근을 지나다가 부벽루에 올라 풍경을 바라보며 인 간사의 무상함과 쓸쓸함을 드러낸 한시입니다. 이 작품이 창작될 당시에는 원나라의 침략으로 고려의 국력이 많이 쇠퇴한 때였어요. 이러한 시대 상황 속에서 작가는 고구려를 세운 동명왕 같은 영웅이 다시 나타나 기울 어 가는 고려의 국운을 다시 일으키기를 바라는 소망을 이 작품에 담아냈어요.

핵심 정리
갈래 한시
주제 고구려의 역사 회고와 인간사의 무
상함
특징
① 시간의 흐름을 시각적으로 표현함
② 선경후정의 방식으로 시상을 전개함.
③ 자연과 인간사의 대비를 활용하여 주제를 드러냄.
수능 출제자의 눈
이 작품은 2022년도 6월 고2 학평,
2009년도 10월 고3 학평, 2003년도
10월 고3 학평에 출제된 적이 있습니 다. 「부벽루」는 2023학년도까지의 기 총을 분석했을 때 아직 평가원에서 다 뤄진 적은 없지만, EBS 연계 교재에 및 차례 수록된 적이 있기 때문에 작품을 잘 파악해 둘 필요가 있어요
'국어 > 문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조선 전기의 평시조 - 오백 년 도읍지를~ , 흥망이 유수하니~, 수양산 바라보며~, 천만리 머나먼 길에~, 어져 내 일이야~ (1) | 2023.04.15 |
---|---|
악장, 언해 - 등악양루, 용비어천가, 신도가, 강촌 (1) | 2023.04.15 |
고려가요, 경기체가 - 가시리, 동동, 서경별곡, 정석가, 청산별곡, 한림별곡 (1) | 2023.04.15 |
고대의 한시 - 여수장우중문시, 야청도의성, 촉규화, 추야우중, 제가야산독서당 (1) | 2023.04.15 |
신라의 향가 - 헌화가, 모죽지랑가, 찬기파랑가, 제망매가 (0) | 2023.04.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