악장, 언해 - 등악양루, 용비어천가, 신도가, 강촌 - 빨리 시작하는 공부방
반응형
728x170
용비어천가|정인지 외


현대어 풀이
제1장
우리나라의 여섯 용이 (하늘을) 나시어 (하 는) 일마다 하늘의 복을 받으시니 (이는) 중 국 고대 성인들과 (행적이) 꼭 들어맞으시니
제2장
뿌리가 깊은 나무는 바람에 흔들리지 않으 므로 꽃이 좋고 열매가 많이 열리니
샘이 깊은 물은 가뭄에 그치지 않으므로 냇물을 이루어 바다에 가나니
제125장
(하늘이) 천 년 전에 미리 (도읍지로) 정하 신 한강 북쪽에 (태조께서) 덕을 쌓아 나라
를 여시어 나라의 운수가 끝이 없으시니 (하지만) 성스러운 왕손이 (왕위를) 이으셔 도 경천근민하셔야만 (나라가) 더욱 굳건
할 것입니다
(후대의) 임금이시여 명심하소서 낙수에 사 냥 가 있으면서 조상만 믿겠습니까



작품 분석
• 감상 루틴 3단계
① 화자는? 명시되지 않음.
② 상황은? 조선의 창업 시조 여섯 명의 업적을 찬양하고, 조선 건국의 정당성을 밝힘.
③ 정서나 태도는? 조선의 무궁한 발전을 기원하고, 후대 왕에게 권계함.
• 이 작품은 세종 27년에 조선 건국의 정당성을 알리고 이를 통치의 근거로 삼기 위해 지어진 악장으로, 주로 창업 시조 여섯 명의 행적을 예찬하는 내용을 담고 있습니다. 전체 125장 중 (제1장)과 <제125장>을 제외하면 모두 2 절 4구의 형식으로 되어 있고, 대체적으로 앞 절에는 중국 역대 제왕의 사적이, 뒤 절에는 창입 시조의 입적이 나타납니다. 훈민정음으로 기록된 최초의 장핀 영웅 서사시로서 문학사적 가치가 높은 작품이랍니다.





핵심 정리
갈래 악장
주제 조선 건국의 정당성과 후대 왕에
대한 권계
특징
① 고사를 활용하여 주제를 강조함.
② 앞 절과 뒤 절을 대응시켜 리듬감을 형성함.
③ 비유적 표현을 활용하여 송축의 뜻 을 드러냄.
④ 말을 건네는 방식을 활용하여 교훈을 전달함.


수능 출제자의 눈
이 작품은 2016학년도 수능 A형에 출제된 적이 있습니다. 출제되었을 때 <제2장>과 <제125장>의 표현상 특징 을 파악하는 문항, 선비와 신하라는 두 가지 정체성을 지닌 사대부의 특성과 관련하여 작품을 감상하는 문항이 출제 되었습니다.








신도가 정도전

현대어 풀이
옛날에는 양주의 고을이여
자리에 새 도음의 경치와 지세가 뛰어 나도다
나라를 연 위대한 왕(태조)께서 태평성대
를 이룩하셨도다
도성답구나 지금의 경치 도성답구나
임금께서 만수무강하시어 모든 백성이 함 께 즐거워하는구나
아오 다롱다리
앞은 한강의 물이여 뒤는 삼각산이여
(많은) 덕을 쌓으신 (이) 강산에서 영원한
삶을 누리소서


작품 분석
• 감상 루틴 3단계
① 화자는? 명시되지 않음.
② 상황은? 조선의 새 도읍지인 한양의 경치와 지세를 봄.
③ 정서나 태도는? 새 도읍지의 형승과 임금의 성덕을 찬양하고, 임금의 만수무강을 기원함.
• 이 작품은 조선을 개국한 이후 도움을 개경에서 한양으로 옮긴 일을 찬양하기 위해 지은 악장입니다. 작품의 앞부분 에서는 새로운 도읍인 한양의 경관과 태조의 덕성을 예찬하고, 뒷부분에서는 명당에 위치한 새 도읍에서 만 세를 누리라고 말하면서 임금의 만수무강을 기원하고 있습니다. 작품을 통해 개국 공신인 작가의 자부심과 새 국가에 대한 낙관적인 태도를 엿볼 수 있습니다.



핵심 정리
갈래 악장
주제 새로운 도읍과 태조의 덕성 예찬
특징
① 3음보 율격으로 리듬감을 형성함.
② 예찬적 어조로 새 국가에 대한 자부 심과 기대감을 표현함.
③ 시어('잣다온더')를 반복하여 새 수도에 대한 긍정적 인식을 드러냄



수능 출제자의 눈
「신도가 는 2022학년도 EBS 연계 교재에 수록되었던 작품입니다. 수능이 나 모의평가에서도 언제든지 출제될 수 있다는 말이지요. 만약 출제된다면 악 장으로서 작품이 가지는 내용과 표현상 의 특징. 화자의 어조나 태도 등에 대해 물을 수 있습니다. 이러한 작품의 핵심 적인 정보를 잘 정리해 둡시다.






강촌 두보


현대어 풀이
맑은 강의 한 굽이가 마을을 안고 흐르니
긴 여름 강촌에 (하는) 일마다 한가하도다.
저절로 가며 저절로 오는 것은 집 위의 제
비요
서로 친하며 서로 가까운 것은 물 가운데
의 갈매기로다.
늙은 아내는 종이에 (줄을) 그려 장기판을 만들거늘
점은 아들은 바늘을 두드려 고기 낚을 낚 시를 만드는구나.
숱한 병에 얻고자 하는 것은 오직 약물이니
조그만 몸이 이밖에 다시 무엇을 구하리오.


작품 분석
• 감상 루틴 3단계
① 화자는? 명시되지 않음.
② 상황은? 한가하고 평화로운 강촌에서 가족들과 함께 생활함.
③ 정서나 태도는? 자신의 소박한 삶에 만족하는 안분지족의 자세를 보임.
• 이 작품은중국 최고익 시인 중 한 명으로 꼽히는 두보의 작품을 언해한 것입니다. 두보의 생애는 몹시 불우했습니다.
고향을 잃어버리고 병든 몸으로 평생을 유랑하며 살았지요. 하지만 이 작품을 지을 당시에는 성도(5초)에 초가집을 지어 놓고 모처럼 평안한 나날을 보낼 수 있었습니다. 자신의 삶에 만족하는 한편 한가로운 자연과 더붙어 조화롭게 살고자 하는 화자의 모습이 작품에 잘 드러나 있습니다.



혁심 정리
갈래 언해
주제 주어진 삶에 만족하며 자연과 하나 되는 삶
특징
① 대구의 방식으로 리듬을 형성함.
② 선경추정의 방식으로 시상을 전개함.
③ 원경에서 근경으로 화자의 시선이 이동함.
④ 영탄적 표현을 동해 화자의 정서를 강조함.


수능 출제자의 눈 이 작품은 2002학년도 수능에 출제 되었습니다. 작가의 생애와 관련하여 시구("져구맛 모미')에 담긴 생활 모습 과 가치관을 파악하는 문항, 3-4구와 5~6구에 드러난 표현상 특징과 그 효 과름 이해하는 문항 등이 출제되었습니 다. 이 외에도 시선의 이동과 선경후정 의 방식을 활용하여 시상을 전개하고 있다는 점, 3~4구와 5~6구가 각각 대 구를 이루고 있다는 점은 이 작품의 중 요한 특징이니 이 점을 눈여겨봐야 합 니다.




등악양루 두보

현대어 품이
옛적에 동정(호)의 물에 대해 들었더니
오늘 악양루에 오르는구나.
오나라와 초나라가 (호수의) 동남쪽에 갈
라졌고
하늘과 땅은 밤낮으로 (동정호에 떠 있도다.
친한 벗이 한 글자의 편지도 없으니 늙어 가매 (동정호에는) 외로운 배만 있도다.
싸움터의 말이 관산의 북쪽에 있으니 (악양루의) 난간에 기대어서 눈물을 흘리
노라.


작품 분석
• 감상 루틴 3단계
① 화자는?
명시되지 않음.
② 상황은?
악양루에 올라 동정호를 감상함.
③ 정서나 태도는?
• 타지에서 고향을 그리며 외로워함.
• 전쟁이 계속되고 있는 나라를 걱정함.


이 작품은두보가 57세에 지은 한시를 언해한 것입니다. 전란을 피해 유랑 중이던 두보는 악양루에 올라 말로만 들었 던 동정호를 직접 보게 됩니다. 동정호는 오나라와 초나라를 가를 만큼 광활하여 장관을 이루지만, 그 앞에 서 있는 자신은 외롭게 떠돌아다니는 신세이고 고향 땅에서는 전쟁이 계속되고 있습니다. 결국 화자는 난간 에 기대어 눈물을 흘리고 합니다. 작가의 외로움과 나라를 근심하는 마음이 잘 드려난 시입니다.

핵심 정리
갈래 언해
주제 고향에 대한 그리움과 우국지정
특징
① 선경후정의 방식으로 시상을 전개함.
② 배에 감정을 이입하여 화자의 고독 감을 강조함.
③ 자연의 모습과 인간의 모습이 서로 대비를 이룸.
④ 대구법을 활용하여 동정호의 장대한 모습을 묘사함.


수능 출제자의 눈
2023학년도까지의 기출을 분석했 을 때, 「등악양루」는 아직까지 평가원 에서 활용한 바가 없습니다. 하지만
2002학년도 수능에 「강촌」 이 출제된 것을 고려하면 언해도 얼마든지 수능에 출제될 가능성이 있습니다. 언해 작품 은 언어와 매체 문항에서만 다루어진다 고 생각하지 말고 이 작품의 핵심 정보 를 잘 정리해 두기 바랍니다.

반응형
그리드형
  • 네이버 블러그 공유하기
  • 네이버 밴드에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