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 전기의 평시조 - 오백 년 도읍지를~ , 흥망이 유수하니~, 수양산 바라보며~, 천만리 머나먼 길에~, 어져 내 일이야~ - 빨리 시작하는 공부방
반응형
728x170
오백 년 도읍지를~ |길재

현대어 풀이
오백 년 (동안 이어져 온) 도읍지를 홀로 말을 타고 돌아 들어가니
산천은 옛날 그대로 변함이 없는데 (이전
의) 인걸은 간데없다
아아(고려 왕조의) 태평연월이 꿈이던가
하노라

02 작품 분석
• 감상 루틴 3단계
① 화자는? 명시되지 않음.
② 상황은? 홀로 말을 타고 옛날 고려의 도읍지(개성)를 방문함.
③ 정서나 태도는? 고려의 패망을 한탄하는 한편 태평했던 시절에 대한 무상감을 드러냄.
• 이 작품은 고려의 충신이었던 길재가 말을 타고 고려의 옛 도읍지를 돌아본 후 망국의 한을 표현한 작품입니다. 이렇게 고려가 몰락한 후 그 유신들이 고려를 회상하며 부른 일군의 노래를 '회고가'라고 하지요. 작품 속에서 화자는 변함없는 자연과 사라진 고려의 충신들을 대비하여 과거에 대한 무상감을 효과적으로 드러내고 있습니다


핵심 정리
갈래 평시조
주제 망국의 한(1)과 인생무상
특징
① 종장 첫머리의 감탄사로 시상을 집약함.
② 영탄적 어조를 통해 화자의 정서를 강조함
③ 대구와 대조를 통해 주제 의식을 효과적으로 드러냄.


수능 출제자의 눈
이 시는 EBS 연계 교재에 여러 번 수록된 작품입니다. 그만큼 출제 가능 성도 높다는 말이지요. 작품이 창작될 당시의 시대적 배경, 화자의 상황과 정 서, 작품에 나타난 대비적 관계 등을 잘 정리해 둘 필요가 있습니다. 그리고 비 슷한 시기에 창작된 다른 시조들과 비 교하며 작품을 감상하면 작품을 보다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입니다.





흥망이 유수하니~ 1 원천석

현대어 풀이
(나라의) 흥하고 망함이 운수에 달렸으니 만월대도 가을 풀만 무성하구나
오백 년 (고려의) 왕업이 목동의 피리 소리
에 깃들어 있으니
석양에 지나는 객이 눈물겨워 하노라

작품 분석
• 감상 루틴 3단계
① 화자는?
명시되지 않음.
② 상황은?
고려가 몰락한 후 잡초로 무성한 옛 궁궐터를 방문함.
3 정서나 태도는? 고려 왕조의 몰락을 한탄하고, 세월의 무상감을 드러냄.
• 이 작품은 고려의 유신 원천석이 잠초로 무성한 고려의 옛 왕궁 터를 방문하고 난 감회를 읊은 작품입니다. 고려 왕조 는 오백 년 동안이나 이어지며 찬란한 업적을 남겼지만 결국 몰락하고 말았습니다. 그로 인한 슬픔과 인생의 무상함을 이 시에서는 '추초' '목적' 등의 시어를 통해 감각적으로 형상화하고 있습니다.


핵심 정리
갈래 평시조
주제 고려 왕조의 멸망에 대한 탄식과
무상감
특징
① 비유와 중의적 표현을 동해 주제 의식을 형상화함.
② 영탄적 표현을 통해 인생의 무상함을 강하게 드러냄.
③ 감각적 이미지를 활용해 화자의 정서를 효과적으로 표현함.


수능 출제자의 눈
이 시는 2014학년도 수능 AB형에 출제되었습니다. 왕방연의 시조, 임제 의 시조와 함께 지문이 구성되었고, 화 자의 심리를 파악하는 문항, 정극인의 「상춘곡」과 비교하여 감상하 는 문항이 출제되었습니다. 작품 전반 적으로 쓸쓸하고 침울한 분위기가 느껴 진다는 점, 화자의 정서를 효과적으로 표현하기 위해 감각적 이미지와 비유적 표현, 중의적 표현 등을 활용했다는 점 등을 작품의 주요한 특징으로 짚을 수 있습니다.



수양산 바라보며~ | 성삼문

현대어 풀이
수양산을 바라보며 이제(백이와 숙제)를 원망하노라
굶주려 죽을지언정 고사리를 캐 먹어서야
되겠는가
비록 산과 들에 자라는 풀인들 그것이 누 구의 땅에 났더냐

작품 분석
• 감상 루틴 3단계
① 화자는? 명시되지 않음.
② 상황은? 수양산을 바라보며 백이• 숙제가 고사리를 캐 먹은 것을 비판함.
③ 정서나 태도는? 백이•숙제를 비판한 이유든 밝히며 그들보다 더 굳은 절의들 지킬 것을 다짐함.
• 이 작품은 단종의 복위를 꾀하다 처형된 작가가, 세조를 따르지 않겠다는 의지를 은유적으로 드러낸 작품입니다. 백 이• 숙제는 은나라의 충신으로 널리 알려져 있습니다. 하지만 작가는 그들이 캐 먹은 고사리 또한 주나라 땅 에서 난 것이라고 비판함으로써 자신이 그들보다도 더 굳은 절개의 소유자임을 강조하고 있습니다.



핵심 정리
갈래 평시조
주제 단종을 향한 굳은 절의와 지조
특징
① 설의적 표현을 활용하여 화자의 생각을 강조함.
② 중의법을 활용하여 대상에 대한 비 판을 은유적으로 드러냄.
③ 새로운 시각으로 백이와 숙제를 평 가하여 자신의 절의를 부각함.



수능 출제자의 눈
이 작품은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고등학교 문학 교과서 4종에 수록 되었고, 2018학년도 EBS 연계 교재 에도 수록되었습니다. 그만큼 중요도가 높다는 뜻이지요. 이 작품을 제대로 감 상하기 위해서는 작품이 창작될 당시의 역사적 배경과 작가의 가치관을 먼저 이해해야 합니다. 성상문은 세조가 단 종을 폐위하고 왕위에 오른 것을 옳지 못하다고 여겼고, 단종에 대한 절의를 지키다 결국 죽고 말았습니다. 이 점을 염두에 두고 작품을 감상한다면 작품의 의미가 더 잘 와닿을 것입니다.


학생들이 자주 묻는 질문
이 작품이 왜 주제 의식을 온유적으 로 전달한다고 하는지 궁금해하는 학생 들이 있습니다. 은유는 '내 마음은 호수 요.'에서와 같이 단어 차원에서 활용되 기도 하지만, 보다 넓은 차원에서 활용 되기도 합니다. 한 이야기 전체가 다른 이야기의 주제를 전달하기 위한 은유로 사용되는 것이지요. 이러한 기법을 알 레고리'라고 합니다. 이 작품에서 백 이• 숙제 일화는 절개를 지키지 못하는 상황에 대한 일종의 알레고리로 볼 수 있습니다.





천만리 머나먼 길에~| 왕방연

현대어 풀이
천만리 머나먼 길에 고운 임과 이별하고 내 (슬픈) 마음 둘 데 없어 냇가에 앉았더니
저 물도 내 안(마음) 같아서 울면서 밤길을 흘러가는구나

작품 분석
• 감상 루틴 3단계
① 화자는?
'나‘  중장의 '내 마음', 종장의 '내 안 같아서'에 화자가 드러납니다.
② 상황은?
임을 먼 곳에 두고 돌아오는 길에 냇가에 앉음.
③ 정서나 태도는? 임과의 이별로 인한 슬픔과 괴로움을 드러냄.
• 이 작품은세조에게 왕위를 빼앗긴 단종이 영월로 유배될 당시, 단종을 유배지까지 압송하는 임무를 맡았던 금부도사 왕방연이 자신의 비통한 심정을 노래한 연군가입니다. 작가는 단종과 이별하고 돌아오는 길에 느낀 안타까움 과 죄책감을 시냇물에 의탁하여 드러내고 있습니다.



핵심 정리
갈래 평시조
주제 임(단종)과 이빌하고 돌아오는 길에 느낀 애달품
특징
① 과장된 표현을 동해 임과의 거리감을 강조함.
② 화자의 슬픔과 죄책감을 자연물에 투영하여 표현함
③ '밤'의 어두운 이미지를 동해 화자의 암담한 심정을 부각함.


수능 출제자의 눈
이 시는 2014학년도 수능 AB형에 출제되었고, 2021학년도 EBS 연계 교재에 수록되었습니다. 시적 화자의 정서와 그 정서를 표현하는 방식이 특 징적인 작품이기 때문에 이 부분에 초 점을 두고 학습하는 것이 좋습니다. 또 한 길이가 짧은 평시조는 다른 작품과 함께 출제되는 경우가 많으므로 주제가 비슷한 작품과 묶어서 학습하면 학습의 효율을 높일 수 있을 것입니다.



마음이 어린후니~|서경덕

현대어 풀이
마음이 어리석고 보니 하는 일이 다 어리
석다
겹겹이 구름 덮인 산에 어느 임이 오랴마는 지는 잎 부는 바람에 행여 그인가 하노라

작품 분석
• 감상 루틴 3단계
① 화자는? 명시되지 않음.
② 상황은?
•임을 기다리고 있음
• 작은 소리만 들어도 임이 온 것으로 착각함.
③ 정서나 태도는? 임을 간절히 그리워하고 있으며, 이러한 자신의 마음이 어리석다고 자책함.


• 이 작품은조선 중종 시기의 도학자 서경덕이 남긴 평시조로, 임이 올 수 없다는 것을 알면서도 임을 기다리는 안타까 운 마음을 노래한 작품입니다. 작품 속의 '님'은 서경덕과 사제지간으로 지냈던 황진이로 알려져 있습니다.
"지는 납', '부는 방람' 소리에도 행여 임이 왔을까 착각하고, 그런 자신을 어리석다고 여기는 화자의 모습은 임을 향한 화자의 그리움이 얼마나 큰지 보여 줍니다.


핵심 정리
갈래 평시조
주제 임을 기다리는 간절한 마음
특징
① 인간 본연의 순수한 감정을 노래함.
② 과장법을 동해 임이 오기 어려운 시적 상황을 강조함.
③ 자연물을 활용하여 화자의 감정을 효과적으로 표현함.


수능 출제자의 눈
이 작품은 2018학년도 EBS 연계 교재에 수록된 작품입니다. 서경덕은 평생 동안 벼슬하지 않고 학문에 힘쓴 도학자이지만, 이 작품에서는 학자적인 면모보다는 자신의 감정을 솔직하게 고 백하는 인간으로서의 면모가 돋보입니 다. 그렇기 때문에 이 작품을 학습할 때 는 화자의 정서를 파악하는 것이 중요 합니다. 그리고 화자의 정서와 관련하 여 시어의 함축적 의미를 파악하는 문 항도 출제될 만하니 작품 속 시어의 의 미를 잘 익혀 두어야 합니다.



어져 내 일이야~| 황진이

현대어 풀이
아아내가 한 일이야 그리워할 줄을 몰랐
먼가
있으라 했더라면 갔겠냐마는 제 구태여
보내고 (이제 와서) 그리워하는 마음은 나
도 모르겠구나



작품 분석
• 감상 루틴 3단계
① 화자는?
'나‘ 초장의 '내 일이야', 종장의 '나도 몰라 하노라'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② 상황은?
떠나려는 임을 붙잡지 않아 결국 임과 이별함.
③ 정서나 태도는? 임을 붙잡지 않은 일을 후회하는 한편 임을 그리워함.
• 이 작품은 조선 시대의 기녀 황진이가 쓴 평시조로, 이별한 이후 느끼는 쓸쓸함과 아쉬움을 노래한 작품입니다. 우리 말을 절요하게 구사하여 자존심과 연정 사이에서 갈등을 겪는 한 여인의 심리를 섬세하게 형상화하고 있습니 다. 이 시에서 주목할 부분은 중장으로, '제 구티야'의 주체를 누구로 보느냐에 따라 다른 의미로 해석되어 시 를 읽는 요이를 더해 주고 있습니다.



핵심 정리
갈래 평시조
주제 임을 떠나보낸 일에 대한 후회,
임에 대한 그리움
특징
① 이별한 이후의 아쉬움과 회한을 진속하게 드러냄.
② 감탄사와 영탄적 표현을 활용하여 화자의 정서를 강조함
③ 도치법 혹은 행간 걸침의 기법을 이 용하여 화자의 감정을 표현함.


수능 출제자의 눈
이 작품은 2014년도 7월 고3 학평
AB형에 출제되었던 작품입니다. 출제 당시 안민영의 평시조, 박문욱의 사설시 조와 함께 지문이 구성되었고, 화자의 심리와 태도를 파악하는 문항, 구절의 표현상 특징을 파악하는 문향이 출제되 었습니다. 이외에 중장의 해석과 관련한 문항도 출제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반응형
그리드형
  • 네이버 블러그 공유하기
  • 네이버 밴드에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