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 전기 연시조 - 도산십이곡, 고산구곡가, 한거십팔곡 - 빨리 시작하는 공부방
반응형
728x170
도산십이곡 이황




제1수
이런들 어떠하며 저런들 어떠하리오
시골에 묻혀 사는 어리석은 선비가 이렇다
(한들) 어떠하리오
하물며 자연을 사랑하여 생긴 병을 고쳐
무엇하리오
제2수
안개와 노을로 집을 삼고 바람과 달로 벗 을 삼아
태평성대에 (자연을 사랑해서 생긴 병으 로 늙어 가네
이 중에 바라는 것은 허물이나 없고자 (하
는 것이다)
제3수
(예로부터 내려오던) 순박한 풍속이 죽었 다고 하니 (그 말은) 진실로 거짓말이다
인간의 성품이 (본래부터) 어질다고 하니 (그 말은) 진실로 옳은 말이다
(그러니) 세상의 많은 슬기로운 사람들을 (어찌) 속여서 말하겠는가?
제4수
그윽한 난초가 계곡에 피어 있으니 자연이
냄새 맡기 좋네
흰 구름이 산 위에 떠 있으니 자연이 보기
좋네
이 중에 저 아름다운 한 사람을 더욱 잊지
못하네
제5수
산 앞에 높은 대가 있고 대 아래에 강물이 있구나
무리 이룬 갈매기는 오며 가며 하는데 어찌하여 현자가 타고 다니는 흰 말은 마음 을 멀리 두는고
제6수
봄바람이 부니 꽃이 산에 가득하고 가을밤 이 되니 달빛이 누대에 가득하구나
사계절의 아름다운 흥취가 사람과 매한가
지로다
하물며 대자연의 우주적 조화와 오묘한 이
치가 어찌 끝이 있으리
제7수
천운대를 돌아들어 완락재가 기운이 맑고
깨끗한데
만 권의 책을 읽으며 살아가니 즐거움이
끝이 없구나
이렇게 지내는 중에 바깥을 거닐며 즐기는 재미는 알해 무엇할꼬
제8수
천둥이 (치는 소리가) 산을 깨뜨릴 듯해도
농인은 듣지 못하나니
밝게 빛나는 해가 하늘 한가운데 떠도 멍
인은 보지 못하나니
우리는 귀와 눈이 밝은 사람이 되어 농인
맹인같이 되지 말아야 하리
제9수
옛사람도 날 못 보고 나도 옛사람을 못 뵙네
옛사람을 못 봐도 (그분들이) 가던 길이 앞 에 있네
(그분들이) 가면 길이 앞에 있는데 (그 길
로) 가지 않고 어찌할꼬
제10수
당시에 가던 길을 몇 해를 버려두고
어디에 가 다니다가 이제야 돌아왔는고 이제야 돌아왔으니 다른 곳에 마음을 두지
제11수
푸른 산은 어찌하여 영원히 푸르며
흐르는 강물은 어찌하여 밤낮으로 그치지
아니하는고
우리도 (저 산과 물처럼) 그치지 말고 영원 히 푸르리라
제12수
어리석은 자도 알며 하니 (학문이) 그 아니
쉬운가
성인도 못다 하시니 (학문이) 그 아니 어려 운가
쉽든지 어렵든지 간에 (학문을 닦느라) 늙 는 줄을 몰라라




작품 분석
• 감상 루티 3단계
① 화자는? '나'  <제9수)의 '고인도 날 못 보고 나도 고인 못 뵈' 등에서 화자가 드려닙니다.
② 상황은? 벼슬을 그만두고 자연 속에서 생활하고 있음.
③ 정서나 태도는?
• 전 6곡: 자연을 벗 삼아 살아가는 삶에 즐거움과 만족감을 느낌.
• 후 6곡: 평생 동안 학문 수양에 정진할 것을 다짐함.

• 이 작품은 이이의 고산구곡가」와 더불어 자연과 학문을 소재로 한 연시조 중 대표작으로 꼽히는 작품이에요. 총 12수 로 이루어져 있으며, 자연에 동화된 삶을 다문 전 6곡의 '언지(주.1), 학운 수양의 자세를 다른 후 6곡의 '언 학(함유)>'으로 구성되어 있지요. 작품에는 속세를 떠나 자연에 귀의하여 사는 삶의 즐거움, 성현을 따라 학문 수양에 정진하겠다는 화자의 다짐 등이 잘 드러나 있어요.



핵심 정리-갈래 연시조
주제 자연 속에서 학문을 수양하는 즐
거움
특징
① 연쇄와 반복을 통해 의미를 강조함.
② 대구의 방식을 사용하여 운율을 형 성함.
③ 설의적 표현으로 화자의 생각을 강조함.
④ 대비를 통해 대상의 이중적 특성을 제시함
⑤ 자연의 속성으로부터 상의 자세를 이끌어 냄.
수능 출제자의 눈
이 작품은 2023학년도 수능, 2015 학년도 6모평 B형, 2012학년도 9모 평, 2005학년도 수능, 2001 학년도 수 능에 출제되었습니다. 비교적 최근에 축제된 2023학년도 수능과 2015학년 도 6모평 B형의 문제 유형을 살펴보 면, 2023학년도에는 화자의 정서와 태 도를 파악하는 문항, <제1수>와 <제2 수)에 나타난 표현상 특징을 파악하는 문항, 작품 속 '자연'의 의미와 관련하 여 작품을 감상하는 문항이 출제되었습 니다. 또한 2015학년도에는 각 수에 나타난 화자의 인식과 태도를 파악하는 문항, '연하', '순풍'. '유란', '교교백 구' 등 시어의 의미를 파악하는 문항, 이규보의 수필 「사가재기」와 비교 감 상하는 문항이 출제되었습니다. 「도산 십이곡」은 지금까지 평가원에서 자주 다루기도 했지만, EBS 연계 교재에 수 록된 바 있고 학평에도 자주 등장하므 로 반드시 꼼꼼하게 학습해야 합니다.



고산구곡가 이이

작품 분석
• 감상 루틴 3단계
① 화자는? '나' @ <제7수>의 '나와 고기와 누가 더욱 즐기는가'에서 화자가 드러납니다.
② 상황은?고산에 터를 닦아 집을 짓고 그곳에서 생활함.
③ 정서나 태도는?
• 주자학을 공부하겠다고 말하며 학문 수양의 의지를 드러냄.
• 고산에서 바라본 아름다운 풍경에 감탄함.


• 이 작품은율곡 이이가 황해도 해주에서 후진 양성에 힘쓰고 있을 때 지은 작품으로, 송나라 유학자 주희의 「무이도 가」에서 영향을 받은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총 10수로 이루어진 연시조인데, 서곡(유 It)에 해당하는 <제1수)에서 작품 창작의 배경과 주제를 드러낸 후 (<제2수)부터 고산의 아름다운 풍경을 한 수씩 노래하였 습니다. 아름다운 자연에 묻혀 살면서 학문 수양에 힘쓰려는 화자의 마음이 잘 드러나 있습니다.


핵심 정리
갈래 연시조
주제 고산의 아름다운 경치와 그 안에 서 학문하는 즐거움
특징
① 영탄적 표현을 활용하여 화자의 만 족감을 드려냄.
② 시상이 전개되는 동안 하루의 흐름과 계절의 변화가 나타남.
③ 각 수마다 자문자답 형식을 반복하여 통일감과 안정감을 확보함.
④ 주로 시각적 이미지를 활용하여 구곡의 아름다운 풍경을 묘사함.


수능 출제자의 눈
이이의 「고산구곡가는 2020학년 도 9모평과 2004학년도 수능에 출제 되었습니다. 2020학년도에는 정극인 의 「상춘곡과의 공동점 파 악하기, 독자의 공감을 유도하는 표현 방식과 관련하여 작품 감상하기. 공간 중심으로 작품 이해하기, 이이의 생애 및 창작 배경과 연관 지어 작품 감상하 기 문제가 출제되었습니다. 2004학년 도에는 표현상 특징 파악하기, 작가의 '마음 안의 풍경'과 관련하여 작품 감상 하기. 시조의 3장 형식과 관련하여 작 품 감상하기 문항이 출제되었습니다.
이 작품은 조선 시대 사대부의 자연관과 가치관을 보여 주는 중요한 작품이 므로 작품의 핵심 정보를 꼭 정리해 두어야 합니다.





한거십팔곡 검호문



현대어 풀이
제1수
평생에 원하는 것이 다만 총효뿐이로다 이 두 일 하지 않으면 짐승과 다를 쏘냐 마음에 하고자 하여 십 년을 허둥지둥하노라
제2수
(남과 글재주만) 서로 견주다 보니 공명이
늦었어라
책을 징어지고 이리저리 다니며 열심히 공 부해도 이루지 못할까 마음 줄이는 뜻을 세월이 물 효르듯 하니 못 이룰까 하여라
제3수
비록 (공명하려는 뜻을) 못 이뤄도 자연이
좋으니라
욕심 없는 물고기와 새는 스스로 조용하고 한가하나니
조만간 세상일을 잊고 너를 좆으려 하노라
제4수
강호에서 놀자 하니 임금을 저버리겠고 임금을 섬기자 하니 (자연을 즐기는) 즐거 움에 어긋나는구나
혼자 갈림길에 서서갈 데 올라 하노라
제5수
어찌하랴! 이러구리 이 몸이 어찌할꼬 도를 행하기도 어렵고 은둔할 곳도 정하지 않았다
언제야 이 뜻 결단하여 내가 즐거워하는 일을 좆으려는가
제6수
하려 하려 하되 이 뜻 (이루지) 못하였구나 이 뜻을 행하면 지극한 즐거움이 있느니라 우습다. 엊그제(까지) 아니하던 일을 누가
옳다 하던고
제7수
알리라 알리라 하여도 이 일 그만두기 어
럽다
이 일 그만두면 내 한 몸이 한가하다 어찌하랴! 엊그제(까지) 하면 일이 다 그릇 된 좋을 알았노라
제8수
나야가면 임금에게 몸 바쳐 충성하고 백성 들에게 혜택을 베풀며, 들어오면 달빛 아 래서 낚시하고 구름 아래서 밭을 간다 총명하고 밝은 군자는 이것을 즐기나니 하물며 부귀는 위태로우니 (나는) 가난하 고 천한 삶을 살리라
제9수
청산이 푸른 시냇물을 마주하고 시내 위에 는 안개 낀 마음이라
초당에서 살아가는 마음을 흰 갈매기인들
제가 알라
대살 창 (바깥으로) 고요한 밤에 달이 밝은 데 거문고 한 대가 있느니라
제10수
빈궁과 영달은 뜬구름같이 보아 세상일은
잊어 두고
좋은 산과 아름다운 물에서 노는 뜻을 원숭이와 학이 내 벗이 아니거든 어느 분
이 아실꼬
제11수
바람은 전로 맑고 달은 절로 밝다
대나무 정원의 소나무 난간에 먼지 한 점
도 없으니
하나의 거문고와 만 권의 책이 더욱 맑고
깨끗하다
제12수
비 갠 하늘의 밝은 달이 구름 뚫고 소나무
끝에 날아올라
가득 찬 맑은 빚이 푸른 시냇물 가운데 비
스듬히 비치거늘
어디 있는 무리 잃은 갈매기가 나를 쫓아 오는가
제13수
날이 저울거늘 도무지 할 일 없어
소나무 문을 닫고 달 아래 누웠으니
세상에 티끌 (같은) 마음이 털끝만큼도 없다
제14수
달빛과 시냇을 소리가 뒤섞여 빈 정자로
오거늘
달빛은 눈으로 보고 시냇을 소리는 귀로
들어
들으며 보며 하니 모든 것이 맑고 밝구나
제15수
주색을 좆자 하니 시인과 문사의 일이 아 니고
부귀들 구하자 하니 뜻이 가지 않네
두어라 어부나 목자가 되어 적막한 물가에 서 놀자
제16수
세상에 나아가는 것과 은거하는 것에 도가 있으니 버리면 구태여 구하랴
산 남쪽 물 북쪽의 병들고 늙은 나를 누구라서 (나더러) 뛰어난 능력을 가지고 은둔하는 것은 나라를 혼란스럽게 하는 것 이라고 하며 오라 말라 하느뇨
제17수
성현이 가신 길이 예로부터 한가지라
은둔하거나 세상에 나아가거나 도가 어찌
다르리
한 가지 도()요 다르지 않으니 아무 덴들
어떠리
제18수
낚시터에 비 개거늘 푸른 이끼로 좋을 상아 고기를 헤아리고 낚을 뜻을 어찌하리 가느다란 초승달이 은 낚싯바늘이 되어 무
른 시냇물 속에 잠겼다
제19수
강가에 누워서 강물을 보는 뜻은
세월이 이처럼 (빠르게) 흘러가니 백세인들
얼마 동안이라
십 년 전(에 품었던) 속세를 향한 뜻이 얼음
녹듯 한다





작품 분석
• 감상 루틴 3단계
① 화자는? '나'  <제10수)의 '원학이 내 본 아니어든' 등에서 화자가 드러닙니다.
② 상황은? 공명을 추구하던 일을 그만두고 자연 속에서 한가하게 살아감.
③ 정서나 태도는? 벼슬하는 삶과 자연 속에 은거하는 삶 사이에서 갈등하다 은거를 선택한 후 갈
등을 해소함.

• 이 작품은 조선 선조 때의 유학자 권호문이 지은, 총 19수로 이루어진 연시조예요. 벼슬길에 나아가 임금을 섬기는 삶과 자연 속에서 풍류들 즐기며 살아가는 삶 사이에서 갈등하던 화자가 결국 자연 속에 은거하게 되는 과정 을 제시한 작품이지요. 화자는 단순히 세속적인 가치를 거부하는 것이 아니라 속세에서의 삶과 자연에서의 삶 사이에서 갈등하는 모습을 보임으로써 당대 사대부들이 추구했던 이상적인 삶의 모습이 어떤 모습인지 보 여 주고 있어요




핵심 정리
갈래 연시조
주제 입신양명과 강호한정 사이에서의 갈등, 자연 속에 한거하는 삶의 즐거움
특징
① 설의적 표현을 통해 화자의 생각을 강조함
② 시어의 대비를 통해 화자의 갈등을 효과적으로 드러냄.
③ 시의 첫 수와 마지막 수를 대비하여 화자의 심리를 드러냄.
③ 대구법을 통해 운율감을 형성하고 시적 상황을 효과적으로 제시함.
⑤ 시상이 전개되는 동안 화자의 갈등 과 갈등이 해소되는 과정이 나타남.



수능 출제자의 눈
이 시는 2019학년도 9모평과 2008학년도 수능에 출제되었습니다. 2019 학년도에는 박재상의 「추억에서 와의 공통점 파악하기, 구절의 의미 이해하 기, '유교적 출처관'과 관련하여 작품 감상하기, 고전 시가의 리듬과 관련하 여 작품 감상하기 문항이 출제되었습니 다. 그리고 2008학년도에는 화자의 정 서 파악하기, 김광균의 「와사등」과 이 작품의 표현상 공동점 파악하기. 구절 의 의미 이해하기. 연시조의 구조와 관 련하여 작품 감상하기 문항이 출제되었 습니다. 이 작품은 길이가 아주 길기 때 문에 작품의 전체적인 흐름을 이해하고 있어야 어떤 부분이 나와도 어려움 없 이 문제를 풀 수 있습니다. 특히 화자의 내적 갈등이 두드러지는 1~8수, 화자의 가치관이 드러나는 15~19수가 중요하 므로 이 부분을 눈여겨보아야 합니다.



반응형
그리드형
  • 네이버 블러그 공유하기
  • 네이버 밴드에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