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전기 연시조 - 강호사시가, 사시가, 어부단가, 오륜가 - 빨리 시작하는 공부방
반응형
728x170
강호사시가 |맹사성

현대어 풀이-춘사
강호에 봄이 찾아오니 주체할 수 없는 흥
이 절로 난다
막걸리를 마시며 노니는 시냇가에 금린어
가 안주로다
이 몸이 (이렇게 봄날을) 한가롭게 보내는 것도 또한 임금의 은헤이시도다
하사
강호에 여름이 찾아오니 초당에 일이 없다 의리 있는 강 물결은 보내는 것이 바람이
로다
이 옹이 (이렇게 더운 여름날을) 서늘하게 보내는 것도 또한 임금의 은혜이시도다
추사
강호에 가을이 찾아오니 고기마다 살이 올 라 있다
작은 배에 그물을 실어 (그물이 물결 따라)
흐르게 띄워 던져 두고
이 몸이 (가을날을) 소일하며 보내는 것도
또한 임금의 은혜이시도다
동사
강호에 겨울이 찾아오니 눈 깊이가 한 자
가 넘는다
삿갓을 비스듬히 쓰고 누더기로 옷을 삼아 이 몸이 (겨울임에도) 춥지 않게 지내는 것
도 또한 임금의 은혜이시도다


작품 분석
• 감상 루틴 3단계
① 화자는? ‘이몸’('나‘)  각 수의 종장에 쓰인 '이 몸'에서 화자가 '나'임을 알 수 있습니다.
② 상황은? 유유자적하며 전원생활을 즐김.
③ 정서나 태도는? 자연 속에 묻혀 지내는 삶에 만족하는 한편 임금의 은혜에 감사함.

• 이 작품은 사계절을 배경으로 아름다운 자연 속에서 풍류를 즐기면서도 임금의 은혜를 잊지 않는, 유교적 중의 사상 을 표출한 연시조예요. 정제된 형식을 통해 다채로운 풍경에서 받은 감흥을 드러낸 작품이지요. 멍사성의 이 려한 창작 방식은 송순의 「연양정가」, 이현보의 「농암가, 등에 영향을 미쳐 강호가도라는 문학 경 향을 일으키는 데 선구적인 역할을 했답니다.


핵심 정리
갈래 연시조
주제 자연에서 즐기는 사계절의 흥취와 임금의 은혜에 대한 감사
특징
① 계절의 변화에 따라 시상을 전개함.
② 각 수마다 유사한 통사 구조를 반복함.
③ 영탄적 표현을 통해 화자의 정서를 강조함.
④ 대상을 의인화하여 친밀한 정서를 드러냄.
⑤ 초• 중장에 제시된 내용을 종장에서 집약함





사시가 황의




현대어 풀이 - 제1수
강호에 봄이 찾아오니 이 몸이 일이 많다
나는 그물 깁고 아이는 받을 가니
뒷산에 움이 트는 약초를 언제 캐려 하나니
제2수
삿갓에 도롱이 입고 가랑비 내리는 중에 호미 여고
산받을 흩어 매다가 나무 그늘에 누웠으니 목동이 소와 양을 돌아다가 잠든 나를 깨 우는구나
제3수
대추 볼이 붉은 골짜기에 밤은 어찌 떨어 지며
벼 벤 그루터기에 게는 어찌 내려오는고 술이 의자 체 장수가 (체를 팔고 돌아가니 (술을 먹지 않고 어찌하리
제4수
산에는 새가 다 그치고 들에는 갈 사람이
없다
외로운 배에 삿갓 쓴 저 늙은이
낚시하는 맛이 깊도다 눈 깊은 줄 아는가

작품 분석
• 감상 루틴 3단계
① 화자는? '나  '나는 그룹 김고', '잠든 나를 깨와다' 등에서 화자가 드려닙니다.
② 상황은? 전원에서 일상생활을 하며 사계절을 보냄.
③ 정서나 태도는? 풍요롭고 흥겨운 전원생활에 만족감을 느낌.
• 이 작품은 오랜 기간 동안 벼슬을 지냈던 황희가 관직을 내려놓고 전원에 내려와 생활하며 지은 작품입니다. 총 네 수 로 구성된 연시조 형식을 통해 계절에 따라 변화하는 자연의 모습과 그 안에서 살아가는 화자의 일상을 노래 하고 있습니다. 농촌의 풍요로운 모습과 때로는 분주하게, 때로는 흥겹게 일상을 만끽하는 화자의 모습이 잘 담겨 있는 작품입니다.



핵심 정리
갈래 연시조
주제 사계절을 맞이한 자연의 모습과
그 속에서 즐기는 풍류
특징
1.계절의 호름에 따라 시상을 전개함.
② 대구의 방식을 통해 시에 리듬감을 부여함.
③ 일상적인 소재를 활용하여 화자의 생활상을 드러냄.
④ 자연물을 의인화하여 대상의 모습 을 효과적으로 드러냄.



수능 출제자의 눈
이 시조는 2023학년도 6모평에 축 제된 작품입니다. 조우인의 「자도사」 (y 297쪽), 공선옥의 「그 시절 우리들 의 집」과 함께 지문이 구성되었고 표현 상 특징 파악하기, 시상 전개 방식 이해 하기, 시어의 의미 파악하기, 작품에 나타난 1인칭 화자와 작가를 연결하여 작품 감상하기 문항이 출제되었습니다.
비교적 최근에 평가원에서 다룬 작품인 만큼 작품의 주제, 화자의 상황과 정 서, 시상 전개 방식 등 주요 정보를 잘 정리해 두기 바랍니다.




어부단가 이현보





현대어 품이
제1수
이 (세상살이) 가운데 시름 없는 것이 어부
의 생애로다
한 척의 작은 배를 넣은 바다에 띄워 두고 인간 세상을 다 잊었으니 날 가는 줄을 아 는가
제2수
(배 위에서 아래들) 굽어보면 깊고 푸른 물 결, 돌아보니 겹겹이 둘러싸인 푸른 산 (이들에 의해) 열 길이나 되는 속세의 먼지 가 얼마나 가려졌는가 강호에 달이 밝게 비치니 더욱 (속세에 대 한) 욕심이 없구나
제3수
푸른 연잎에 밤을 싸고 푸른 버들가지에 (잡은) 고기를 퀘어
갈대와 억새풀 우거진 곳에 배를 매어 두니
자연의 참된 의미를 어느 분이 아실까
제4수
산꼭대기에 한가로운 구름이 솟아나고 물 가운데 갈매기가 날아다닌다
욕심 없고 다정한 것은 이 둘뿐이로다 평생 동안 시름을 잊고 너희를 쫓아 놀리라
제5수
한잉을 돌아보니 궁궐이 (여기로부터) 천
리로다
고깃배에 누워 있은들 (그곳읍) 잊은 때가 있으랴
두어라 내가 걱정할 바가 아니다 (내가 아 니어도) 제세현이 없으랴



작품 분석
• 감상 루틴 3단계
① 화자는?
'나  (제5수)의 '두어라 내 시름 아니라'에서 화자가 드러납니다.
② 상황은?
자신을 '어부'로 지칭하며 어촌에서 한가롭게 생활함.
3 정서나 태도는?
• 1~4수에서는 속세에 대한 거리감과 자연 친화적 태도를 드러냄.
•(제5수)에서는 속세에 대한 미련과 나라를 근심하는 마음을 드러냄.
• 이 작품은
이현보가 고려 때부터 전해 내려오던 「어부가」를 5수의 연시조로 개작한 작품이에요. 이 작품에서 주목할 점은 '어부'의 한자 표기예요. 흔히 고기 잡는 일을 직업으로 하는 사람은 어부라고 하는데, 이 작품의 화자는 자신을 어부(3월)라고 지칭하고 있어요. 자신은 생계를 잇기 위해서가 아니라 풍류를 즐기기 위해 고기를 잡는 사람이라는 것이지요. 화자는 어부로서 속세를 얼리하고 한가롭게 자연을 즐기는 모습을 보이고 있어요. 하지만 마지막 수에서는 임금과 나랏일에 대한 근심을 드러내고 있답니다. 이는 정치 현실에 대한 관심과 미련을 버릴 수 없었던 당시 사대부 계총의 정신세계를 반영한 것이라고 할 수 있어요







핵심 정리
갈래 연시조
주제 자연을 즐기며 살아가는 풍류
특징
① 대구의 기법을 활용하여 리듬감을 형성함.
② 설의법을 활용하여 화자의 생각을 강조함.
③ 자연물을 의인화하여 대상에 대한 친근감을 드러냄.
④ 대비적 성격의 공간을 제시하여 주 제 의식을 드러냄
⑤ '어부'라는 독특한 표기를 통 해 화자의 삶을 강조함.



수능 출제자의 눈
이 작품은 평가원에서 비교적 여러번 다룬 작품이에요. 2023학년도 9모 평, 2010학년도 9모평, 2005학년도 6모평에 출제되었지요. 많이 다루어진 만큼 중요도도높다고 할 수 있겠지요?
그간 출제된 문항 유형을 살펴보면 표 현상의 특징을 파악하는 문항, 화자의 태도를 파악하는 문항, 시 속에 나타난 공간을 대비하는 문항, 윤선도의 「어부 사시사 와 비교하여 감상하 는 문항. '어부' 모티프와 관련하여 작 품을 감상하는 문항 등이 있어요.







오륜가 주세붕

현대어 풀이
제1수
사람 사람마다 이 말씀 들으려무나
이 말씀 아니면 사람이라도 사람 아니니
이 말씀 잊지 말고 배우고야 말 것이니라
제2수
아버님 날 낳으시고 어머님 날 기르시니
부모님만 아니시면 내 몸이 없었으리라 이 역을 갚으려 하니 하늘처럼 끝이 없으 시구나
제3수
종과 주인을 누구라서 만들어 내셨는고
벌과 개미가 이 뜻을 먼저 아니
한 마음에 두 뜻 없이 속이지나 합시다
제4수
지아비 받 갈려 간 곳에 밥 담은 그릇을 이
고가
반상을 들되 (그 높이를) 눈썹에 맞줍니다
진실로 고마우시니 (지아비 대하는 것이)
손님 대하는 것과 다르실까
제5수
형님 잡수신 젖을 내가 좇아 먹습니다
아아우리 아우야 너는 어머님의 사랑이야 형제가 서로 화목하지 못하면 개, 돼지라 하리라
제6수
늙은이는 부모 같고 어른은 형 같으니 (이와) 같은데 공경하지 않으면 (짐승과) 어
디가 다를까
나이가 많으시거든 절하고야 말 것이니라

작품 분석
• 감상 루틴 3단계
① 화자는?
• 오륜의 덕목을 전달하려는 사람
• '형님'과 '아우' (제5수)에서 '형님'과 '아우'가 서로 대화하고 있습니다.
② 상황은? 사람들에게 오륜의 교훈을 전함.
③ 정서나 태도는? 오륜을 지키지 않으면 금수나 다름없다고 말하며 사람들에게 오류의 도리를 다할 것을 당부함.
• 이 작품은 주세붕이 황해도 관찰사로 지낼 때 지은 작품으로, '오륜(표) 이라는 유교적 가치관을 백성들에게 전달 하려는 의도를 가지고 창작한 연시조입니다. 먼저 <제1수>에서 오륜을 배워야 하는 이유를 밝힌 뒤, 2-6수 에서 유교적 먹목에 해당하는 가치들을 각각 다루는 구조를 취하고 있습니다. <제5수>에서는 오륜 중 친구 사이의 신의를 강조하는 '붕우유신'을 다루는 대신 형제간의 우애를 강조하였습니다. 관념적인 주제를 추상 적으로 다루는 것이 아니라 구체적이고 일상적인 삶을 통해 드러낸 작품입니다.



핵심 정리
갈래 연시조
주제 오륜(표)의 실천 강조
특징
① 자연물을 활용하여 주제 의식을 강조함.
③ 설의법을 활용하여 화자의 생각을 강조함.
③ 독자들에게 전달하려는 교훈의 내 용을 직설적으로 제시함.
④ 대구법을 활용하여 화자의 인식을 드러내고 운율을 형성함.



수능 출제자의 눈
이 작품은 2018학년도 6모평에 총 제된 작품입니다. 이곡의 차마설과 함께 지문이 구성되었고, 두 작품 간의 공통점을 파악하는 문향이 출제되었습 니다. 또한 작품의 표현상 특징을 파악 하는 문항, 교훈적 내용의 시조가 설득 력을 높이기 위해 선택하는 표현 전략 과 관련하여 작품을 감상하는 문항이 출제되었습니다. 「오륜가」는 평가원에 서 다룬 작품일 뿐만 아니라 EBS 연계 교재에도 여러 번 수록되었기 때문에 작품을 잘 파악해 둘 필요가 있습니다.



엮어 읽기
훈민가(정철) 는 정철이 강원도 관찰사로 재직할 당 시 백성들을 교화할 목적으로 지은, 총 16수로 이루어진 연시조입니다. 주세 붕의 「오륜가」와 마찬가지로 유교적 덕목을 전달하려는 의도가 강한 작품이 지요. 또한 두 작품은 모두 어려운 한자 어름 늘어놓기보다는 일상적인 언어를 활용했다는 공통점이 있습니다. 여기에 는 백성들이 작품을 보다 쉽게 이해하 도록 하려는 작가의 배려가 담겨 있다 고 볼 수 있습니다.





반응형
그리드형
  • 네이버 블러그 공유하기
  • 네이버 밴드에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