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격 조사
• 현대 국어의 주격 조사에는 '이/가', '께서'. '에서'가 있어요.
여 동생이 밥을 먹었다. 동생' 뒤에 주격 조사 '이'가 붙어 밤을 먹는 주체가 '통생'임을 나타내고 있어요.
경치가 아름답다. 경치' 뒤에 주격 조사 '가'가 붙어 아름다움을 지닌 것이 '경치' 임을 나타내고 있어요.
할머니께서 공원에 가셨다. '할머니'가 공원에 간 주체임을 나타내는 주격 조사 '께서'가 쓰였어요.
정부에서 조사를 실시했다. 정부'가 조사를 실시한 주체임을 나타내는 주격 조사 '에서'가 쓰였어요.
• 중세 국어에서 주격 조사는 현대 국어와 달리 환경에 따라 '이', 'l', ''(영형태)로 실현되었 어요. 한눈에 보기 쉽게 정리해 볼게요.

목적격 조사
• 현대 국어의 목적격 조사에는 '을/를', '로'이 있어요.
• 누나가 책을 읽는다. '책' 뒤에 목적격 조사 '을'이 불어 누나가 읽는 것이 '책'임을 나타내고 있어요.
형이 모자를 쓴다. 모자' 뒤에 목적격 조사 '를'이 붙어 형이 쓰는 것이 '모자'임을 나타내고 있어요.
그는 날 좋아한다. '나' 뒤에 목적격 조사 ''이 붙어 그가 좋아하는 대상이 '나'임을 나타내고 있어요.
• 그런데 고전 시가에 나타나는 목적격 조사는 현대 국어와 그 형태가 사뭇 다릅니다.
환경에 따라 달리 실현되었는데, 한눈에 보기 쉽게 정리해 볼게요.

관형격 조사
• 현대 국어의 관형격 조사에는 '의'가 있어요.
나의 책 앞에 오는 체인 '나'가 뒤에 오는 체인 '책'의 관형어임을 보이는 조사 '의'가 쓰였어요.
• 그런데 고전 시가에는 현대 국어에 없는 형태의 관형격 조사도 나타납니다.
조건에 따라 '이/의' '사' 등으로 실현되었는데, 한눈에 보기 쉽게 정리해 볼게요.

호격 조사 '하'
• 현대 국어의 호격 조사에는 '아/야, '이여' 등이 있습니다. 고전 시가에서도 만나게 되지요.
여 태연아, 이리 와 봐. @ 효격 조사 '아'를 사용하여 '태연'을 부르고 있어요.
승우야, 어디 가니? @ 효격 조사 '야'를 사용하여 '승우'를 부르고 있어요.
하늘이여, 조국을 보살피소서. @ 정중하게 부르는 뜻을 나타내는 호격 조사 '이여'가 쓰였어요.
• 그런데 고전 시가에 나타나는 호격 조사 중에 특이한 것이 있습니다. 바로 높임의 대상 뒤에 붙는 '하'라는 호격 조사입니다. '하'가 붙는 높임의 대상을 크게 다섯 가지로 살펴볼게요

의문형 어미
• 중세 국어의 의문형 어미 가운데 여러분이 꼭 알아 두었으면 하는 것이 있습니다.

‘ㅎ' 종성 체언
• 중세 국어에는 '중'을 말음으로 가지는 체언이 있었어요.
'겨승(겨울), '나랑(나라), '동(돌), 바당(바다), '하능(하늘) 이 그 예이지요.
이렇듯 ''을 말음으로 하는 체언을 '' 종성 체언이라고 해요.
• 현대 국어에서도 그 흔적을 발견할 수 있어요. 그 예를 살펴볼까요?
예 안팎 @ '안팎'은 중 종성 체언이었던 '안흥'과 '밖'이 결합하여 만들어진 단어랍니다.
암탉 @ '암닭'은 등 종성 체언이었던 '암'과 '닭'이 결합하여 만들어진 단어랍니다.
수평아리 @ '수핑아리'는 중 종성 체언이었던 '수흥'과 '병아리'가 결합하여 만들어진 단어랍니다.
•'ㅎ' 종성 체언은 환경에 따라 그 형태가 달리 나타났어요.

거듭 적기
•'거듭 적기'란 이어 적기와 끊어 적기를 모두 사용한 표기법인데, 체언이나 용언 어간의 받침 뒤에 모음으로 시작하는 조사나 어미가 올 때, 받침을 한 번 더 표기한 방식을 말해요.
• 중세의 이어 적기(연철) 방식이 현대의 끊어 적기(분철) 방식으로 가는 과도기적 현상으로 거듭 적기(중철) 방식이 나타났어요

헷갈리는 고전 시가 필수 어휘

'국어 > 문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신라의 향가 - 헌화가, 모죽지랑가, 찬기파랑가, 제망매가 (0) | 2023.04.15 |
---|---|
고대 가요 - 공무도하가, 구지가, 황조가, 정읍사 (1) | 2023.04.12 |
고전시가에서 기본적으로 알아야하는 이어 적기,받침,구개음화,원순 모음화 (0) | 2023.04.05 |
첨화록, 누가 하늘을 보았다 하는가, (0) | 2023.03.31 |
싸늘한 이마, 월문, 그의반, 사랑법, 학, 저새 (0) | 2023.03.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