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728x170
동양 유교 윤리사상의 흐름
춘추 전국 시대
- 공자 (Confucius)
- 사회 혼란의 원인: 공자는 인간의 도덕적 타락으로 사회가 혼란에 빠진다고 보았습니다.
- 예 (禮): 외면적인 사회 규범으로 인(仁)의 외면적 표현입니다.
- 인과 예의 관계: 인은 내면적인 덕성으로, 예를 통해 외적으로 표현됩니다.
- 정명 (正名) 사상: 각 개인이 자신의 신분과 지위에 맞는 역할을 수행하여 사회적 혼란을 방지합니다.
- 덕치 (德治): 도덕과 예의를 통해 사람들을 교화하는 정치.
- 대동 (大同) 사회: 이상적인 사회로, 재화가 고르게 분배되어 모든 사람이 잘 사는 사회.
- 맹자 (Mencius)
- 성선설: 인간의 본성은 선하다는 주장.
- 사단 (四端): 측은지심, 수오지심, 사양지심, 시비지심으로, 사덕(四德)인 인(仁), 의(義), 예(禮), 지(智)로 발전합니다.
- 인의 (仁義): 사랑의 마음(仁)과 사회적 정의(義)를 강조.
- 정치사상: 왕도 정치와 민본주의적 혁명 사상(역성혁명론)을 주장.
- 순자 (Xunzi)
- 성악설: 인간의 본성은 악하다는 주장.
- 화성기위 (化性起僞): 인간의 악한 본성을 예(禮)로 선하게 변화시킴.
- 예치 (禮治): 예를 통해 인간을 도덕적으로 바로잡고 사회 질서를 유지.
진 시대
- 부국강병책 중시: 법가 사상을 바탕으로 강력한 통치. 유학 탄압 정책을 펼쳐 유학이 침체되었습니다.
한시대
- 경학과 훈고학의 발달: 유학 부활과 함께 경전을 복원하고 주석을 다는 훈고학이 발달했습니다.
수·당시대
- 유교의 국교화: 유교가 국교로 자리 잡고, 불교와 도교도 발달했습니다.
송시대
- 주희 (Zhu Xi)와 성리학 (주자학)
- 성리학 정립: 맹자의 성선설과 성즉리설을 집대성하여 성리학을 정립.
- 본성론: 인간의 본성을 이(理)와 기(氣)의 결합으로 이해.
- 수양론: 격물치지, 거경궁리, 존양성찰, 존천리거인욕 등을 통해 도덕적 수양과 실천 방법을 제시.
명 시대
- 왕수인 (Wang Yangming)과 양명학
- 심즉리설: 마음이 곧 이치라는 이론.
- 사상 체계: 심즉리설, 치양지설, 지행합일설로 구성.
청 시대
- 고증학
- 실사구시: 성리학과 양명학의 한계를 비판하고, 구체적인 현실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론.
- 발전: 고증학은 실학으로 계승되어 경세치용의 학문 경향을 전개.
기타 사상가들
- 고자 (Gaozi)
- 성무선악설: 인간의 본성은 선악이 없고, 후천적인 노력과 환경에 의해 형성된다고 주장.
- 겸애설 (兼愛說): 남을 자신처럼 사랑하고 이로움을 나누어 천하의 혼란을 종식할 것을 주장.
- 한비자 (Han Feizi)
- 법가 사상: 순자의 성악설에 영향을 받아, 인간을 법과 술로써 조종해야 한다고 강조.
한국 유교·도교 윤리 및 근대 윤리사상의 흐름
삼국 시대
- 최치원: '난랑비 서문'에서 유교, 불교, 도교 삼교를 포함하는 고유 사상인 풍류도를 제시했습니다.
고려 시대
- 성리학: 고려 말 안향이 원나라로부터 성리학을 들여왔습니다.
조선 중기 (16세기)의 성리학
- 성리학의 발달: 조선 중기 성리학은 주희의 학문을 계승하고 발전시켰습니다. 이는 조선의 사회와 정치에 깊은 영향을 미쳤습니다.
조선시대 도교와 실학사상
한국의 도교 사상
- 신선사상, 불로장생설: 무병과 장수를 바라는 백성들이 관심을 가졌습니다.
- 권선징악: 도교는 백성들의 삶 속에서 권선징악과 안심입명에 영향을 미쳤습니다.
실학사상
- 배경: 전란 이후 사회 전반에 걸친 혼란이 심화되었고, 기존의 학문적 풍토에 대한 반성이 일어났습니다.
- 의의: 실증적 연구 자세로 우리의 역사, 지리, 문헌 등을 재해석하여 자주 정신을 고취했습니다.
- 주요 경향: 경세치용(經世致用), 이용후생(利用厚生), 실사구시(實事求是)를 중심으로 전개되었습니다.
- 정약용
- 현실적 존재: 정약용은 인간을 현실적이고 혈기적인 존재로 파악했습니다.
- 성기호설: 인간의 성(性)을 마음의 기호(嗜好)로 이해했습니다.
한국 근대 윤리사상
강화학파
- 양명학 기반: 강화학파는 양명학을 기반으로 능동적이고 참된 자아를 각성하고 사회 문제를 해결하고자 했습니다.
위정척사 사상
- 서양 문물 이단 규정: 서양의 종교와 문물을 이단으로 규정하고 척양·척왜의 강력한 의리론을 주장했습니다.
- 의의: 유교적 가치관과 민족정신으로 외세를 극복하여 민족주체성과 민족의식을 표출했습니다.
개화사상
- 근대화된 서양 문물 수용: 개화사상은 서양 문물을 주체적으로 수용하자는 입장이었으며, 전통 질서를 부정하는 입장과 동도서기론(東道西器論)의 입장으로 나뉘었습니다.
동학사상
- 인본주의 기반: 동학사상은 인본주의를 기반으로 한 사해 평등주의를 표방했습니다.
- 사상: 시천주(侍天主), 인내천(人乃天), 오심즉여심(吾心卽汝心), 사인여천(事人如天)을 주장했습니다.
불교의 흐름
초기 불교의 핵심사상
- 인연 사상 (Pratītyasamutpāda)
- 연기법: 모든 현상은 무수한 원인(因)과 조건(緣)에 의해 발생한다는 법칙을 강조합니다. 이는 모든 존재가 상호 의존적이라는 깨달음을 줍니다.
- 사성제 (Four Noble Truths)
- 고성제 (Dukkha): 삶의 고통과 불만족의 진리.
- 집성제 (Samudaya): 고통의 원인은 집착과 갈망.
- 멸성제 (Nirodha): 고통의 소멸 가능성.
- 도성제 (Magga): 고통을 멸하는 길, 즉 팔정도(八正道).
- 삼법인 (Three Marks of Existence)
- 제행무상 (Anicca): 모든 것은 무상하다.
- 제법무아 (Anatta): 모든 것은 무아(無我)이다.
- 열반적정 (Nirvana): 열반은 고요하고 평화로운 상태이다.
불교 사상의 전개
- 소승불교와 대승불교 발전
- 소승불교 (Theravāda): 초기 불교에서 발전한 전통으로 개인의 해탈을 중시합니다.
- 대승불교 (Mahāyāna): 후기에 출현한 전통으로, 보살도를 통한 모든 중생의 구제를 강조합니다.
- 대승 불교 사상
- 반야경 (Prajñāpāramitā Sūtras): 대승불교의 중심 경전으로, 공(空) 사상과 중도(中道) 사상이 강조되었습니다.
- 공 사상 (Śūnyatā): 자아에 대한 집착으로부터 탈피하여 무아(無我)의 인식을 강조합니다.
- 중도 사상 (Madhyamaka): 우주의 본질과 현실의 양면을 객관적으로 관찰하는 태도를 유지합니다.
- 보살 (Bodhisattva): 위로는 깨달음을 구하고 아래로는 중생을 구제하는 자비로운 마음을 지닌 이상적인 인간상입니다.
- 반야경 (Prajñāpāramitā Sūtras): 대승불교의 중심 경전으로, 공(空) 사상과 중도(中道) 사상이 강조되었습니다.
중국 불교의 전개
- 전개: 6, 7세기경 인도의 대승 불교가 중국으로 전래되어 교종과 선종으로 변화·발전했습니다.
- 특징: 노장사상의 개념을 받아들여 불교를 이해하고, 인과응보의 윤회 사상이 정착했습니다.
- 영향: 사상적·문화적으로 중국 문화의 다변화에 이바지했습니다.
한국 불교 윤리
- 원효 (Wonhyo)
- 화쟁 원리 (Hwajaeng): 원효는 화쟁의 원리를 주장하며 불교의 대중화에 기여했습니다. 이는 서로 다른 불교 사상을 조화롭게 통합하려는 노력입니다.
- 의천 (Uicheon)과 지눌 (Jinul)
- 교종과 선종의 조화: 의천과 지눌은 교종(敎宗)과 선종(禪宗)의 균형과 조화를 위해 노력했습니다. 이는 왕권 강화와 민심 안정을 위한 것이었습니다.
이와 같이 불교 윤리는 초기 사상부터 다양한 지역과 시대를 거쳐 발전하며 다양한 사회적, 문화적 맥락에서 실천과 적용이 이루어졌습니다. 한국 불교는 이러한 흐름 속에서 독특한 윤리적 사유와 실천을 발전시켜 왔습니다.
반응형
도가·도교 윤리 사상의 흐름
춘추 전국 시대 도가 사상의 연원
목표
- 무위(無爲): 도가 사상은 인위적인 노력을 배제하고 자연의 질서를 회복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특징
- 인위적인 노력의 비판과 부정: 도가 사상은 인간의 인위적인 노력과 사회 제도를 비판하고, 자연의 질서에 순응하여 절대 자유의 경지를 추구합니다.
노자
사회 혼란의 원인
- 그릇된 인식과 가치관, 인위적인 사회 제도: 노자는 이러한 것들이 사회 혼란의 원인이라고 보았습니다.
도(道)
- 우주 만물의 근원: 도는 참된 자연의 원리이자 형이상학적 진리로 모든 사물의 근본입니다.
덕(德)
- 도를 따르는 것: 덕은 자연에 합치되는 무위와 무욕(無慾)의 태도를 의미합니다.
- 상덕(上德): 자연과 합치되는 무위와 무욕의 태도.
- 하덕(下德): 목표를 달성하려는 인위적인 노력.
가치 상대주의
- 유가의 예악 비판: 노자는 유가의 예악(禮樂)이 모든 사람에게 선한 가치가 아닐 수도 있다고 보았습니다.
이상적인 삶
- 무위자연(無爲自然): 인위적으로 하지 않고 자연의 본성을 따르는 상태.
- 상선약수(上善若水): '으뜸이 되는 선은 물과 같다'는 뜻으로, 가장 이상적인 무위자연을 상징합니다.
정치사상
- 무위정치: 통치자가 백성의 삶에 개입하지 않는 이상 사회.
- 소국과민(小國寡民): 작은 나라에 적은 백성으로, 백성들의 평화로운 삶을 중시합니다.
장자
사회 혼란의 원인
- 시비선악의 분별과 차별: 장자는 이러한 것들이 사회 혼란의 원인이라고 보았습니다.
도(道)
- 만물에 존재하는 원리: 도는 덕의 근본이며, 모든 사물에 내재합니다.
이상적인 삶
- 공을 내세우지 않는 삶: 무엇을 하려고 꾀하지 않고, 일이 잘 되어도 자만하지 않는 삶.
- 만물제동(萬物齊同): 모든 사물의 평등성을 주장합니다.
수양 방법
- 심재(心齋): 마음을 비워서 깨끗이 하는 것.
- 좌망(坐忘): 조용히 앉아서 자신을 구속하는 일체의 것을 잊어버리는 것.
이상적 인간상
- 지인(至人), 진인(眞人), 신인(神人), 천인(天人): 물아일체(物我一體)의 경지에 이른 인간상을 의미합니다.
한
도교 사상의 연원
- 성립: 도가 사상에 민간 신앙적 요소가 결합되어 장생을 추구하는 종교적 색채가 강한 도교가 성립되었습니다.
- 목표: 육체적인 한계를 극복하고 수련을 통해 불로불사의 선인(仙人)이 되고자 합니다.
황로학파(黃老學派)
신선 사상과 노장사상의 체계화
- 체계화: 신선 사상과 노장사상을 체계화하였습니다.
타 학파의 수용
- 유가, 법가, 묵가 등의 관점 수용: 노자의 무위사상을 개조하고 보충하였습니다.
이상 사회 추구
- 청정무위(淸淨無爲): 이상 사회를 추구했습니다.
태평도(太平道)
권력층 비판
- 수탈을 일삼는 권력층 비판: 궁핍한 백성의 마음을 움직였습니다.
복을 추구
- 기도와 부적: 자신의 잘못을 뉘우치는 기도를 통해 복을 추구하고, 부적과 맑은 물로 병을 치료한다고 선전했습니다.
오두미교(五斗米敎)
종교로 발전
- 탐관오리 비판: 사회적 혼란기에 교단의 형태를 갖춘 종교로 발전했습니다.
- 신선사상과 노자 신격화: 신선사상과 노자에 대한 신격화를 바탕으로 삼았습니다.
- 태평도와의 관계: 태평도와 함께 도가 사상을 바탕으로 "태평경"을 신봉했습니다.
위·진 시대
현학(玄學)
노장 사상의 숭상
- 현학: 노장 사상을 숭상하고 경학(經學)에 반대하는 사상적 경향이 있었습니다.
청담(淸談)과 죽림칠현(竹林七賢)
- 철학적·예술적 사유와 가치 중시: 현학자들은 세속적 가치를 넘어서는 철학적·예술적 사유와 가치를 중시했습니다.
반응형
그리드형
'사회 탐구 > 윤리와 사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윤리와 사상 - 경험중시 흐름,이성중시 흐름 (2) | 2023.03.17 |
---|---|
윤리와 사상 - 서양 윤리 사상 (1) | 2023.03.17 |
윤리와 사상 - 최근 6년간 제시문과 답지를 통해 본 유가 사상 (2) | 2023.03.17 |
윤리와 사상 - 불교윤리사상 (0) | 2023.03.17 |
윤리와 사상 - 유교와한국유교윤리사상 (3) | 2023.03.17 |